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모처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연다. 윤종규닫기





간담회에서는 대출 만기연장·이자 상환유예 조치 재연장 여부를 포함한 코로나19 금융지원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금융위는 작년 4월부터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 상환유예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당초 지난 9월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올해 3월 말까지로 한차례 연장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금융위는 해당 조치를 6개월 재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은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추가 연장이 불가피한 상황임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 위원장은 지난달 금융위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전 금융권 만기연장·상환유예, 금융규제 유연화 등 한시적 금융지원 조치는 방역 상황, 실물경제 동향, 금융권 감내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연장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은 위원장은 금융권과의 협의를 마치고 이달 중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관련 안건을 상정할 계획이다.
금융권에서는 잠재 부실에 대한 우려도 높은 상황이다. 이에 금융위는 실물경제 회복으로 상환유예 조치를 정상화할 때도 차주의 상환 부담이 한꺼번에 집중되지 않도록 연착륙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위는 상환유예 종료 이후 개별 차주의 상황에 따라 상환 가능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예 원리금의 상환 기간 연장, 장기대출 전환 등 다양한 장기·분할 상환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한시적 완화 등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도 한 차례 더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에 따르면 금융권의 일시상환대출 만기연장 금액은 116조원(35만건), 분할상환 원금상환유예는 8조5000억원(5만5000건) 규모다. 이자 상환유예의 경우 대출원금 4조7000억원에 유예된 이자는 1570억원(1만3000건) 수준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금융지주·은행 배당정책과 오는 3월 발표할 가계부채 관리 선진화 방안 등 현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은 위원장은 오는 19일께 기업은행,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장들과, 다음주 초에는 은행연합회 등 금융협회장들과도 차례로 회동할 예정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