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생명이 보험기간별 보장 이원화로 보험료와 가입기준을 완화한 삼성 행복종신보험을 11일 출시한다. 이는 연금선지급 제도를 활용해 노후 생활자금도 확보할 수 있다./사진= 삼성생명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한라이프 8월 GA채널 매출이 20억원을 기록, 상위권에 올랐다. 신한라이프 매출이 급증할 수 있었던 배경은 '단기납 종신보험' 상품이다.
신한라이프는 단기납 종신보험 '신한더드림종신보험'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KB생명 '7년의 약속'이 인기를 끌자 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상품은 확정이율이 2%이며 5년납, 7년납, 10년납, 12년납 환급률이 100% 이상이다. 납입완료 시점 이후에는 연복리 확정이율 2.0%도 추가 적립된다. 사망보험금도 납입 완료 시점에서 5%씩 체증된다.
대형사인 삼성생명까지 뛰어들면서 경쟁은 격화되고 있다.
삼성생명은 지난 8월 '삼성 행복종신보험'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가입금액 7000만원 이상인 경우 8년간 보험료를 완납하면 주계약 납입보험료의 100%를 해지환급급으로 보장한다.
KDB생명까지 단기납 종신보험 시장에 진출했다.
KDB생명은 '(무)KDB 버팀목종신보험'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납입 기간 완료시점 해지 시, 해지환급률이 주계약 기납입 보험료 100% 내외다. 6, 7, 8, 9, 10년납 중 선택이 가능하다. 가입 5년 후부터 20년 동안 매년 주계약 보험가입금액의 5%씩 사망 보장도 체증한다.
단기납 종신보험 반응이 좋아지면서 생명보험사들도 출시를 저울질하고 있다. IFRS17 시행을 앞두고 단기납 종신보험은 부담이 된다는 점, 저축성 성격으로 판매해 민원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보험사에 부담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IFRS17 하에서는 가치평가로 이뤄져 장기납입이 회사에 유리하지만 단기납 종신은 기간이 짧아 향후 부담이 될 수 있다"라며 "종신보험이지만 저축성 보험 성격으로 판매되고 있어 민원 소지도 높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상품 고객 반응이 좋다보니 출시를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