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는 지난 16일 “사용자 몰입감을 높이는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을 확대 구축하고 연내 AI가 접목된 다양한 영상 기술과 확장현실(XR) 콘텐츠 플랫폼 등을 순차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2012년 '네이버 TV캐스트' 출시를 시작으로 NOW, VLIVE 등 영상 중심 서비스를 지속 선보이고 있다. 영상 콘텐츠 사전 처리부터 전송, 재생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미디어 기술 역량을 자체 고도화했다. 현재는 쇼핑라이브와 치지직 등 고화질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도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이러한 기반에 AI 기술을 더해 영상 미디어 생태계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더불어 ‘버추얼 콘텐츠 경험’ 확대가 미디어 업계 화두로 떠오르면서 네이버는 현재 독자 구축한 ▲미디어 AI ▲XR 스튜디오 ▲버추얼 스트리밍 등 이른바 ‘비전 테크 트라이앵글’로 실감형 콘텐츠 경험 확대에 나섰다.
네이버는 지난해 영상 품질은 유지하면서 전송 속도를 높인 ‘AI 인코드’ 기술을 도입했다. AI가 학습을 통해 최적화된 인코딩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이는 ▲동영상 압축 ▲이미지 최적화 ▲실시간 스트리밍 최적화 등에 활용된다. 이로 인해 스트리머나 사업자는 보다 안정적인 송출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더욱 빠르게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
서울 1784 사옥에 구축된 ‘비전스테이지’와 ‘모션스테이지’는 네이버 실감형 미디어 플랫폼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오한기 네이버 리얼타임 엔진 스튜디오 리더가 16일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1784에서 진행된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 테크 포럼'에서 비전스테이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사진=네이버
이미지 확대보기네이버는 모션스테이지를 활용해 치지직 대표 버추얼 스트리머들과 함께 협업한 프로젝트를 공개한 바 있다. 실시간 3D 콘텐츠와 돌비 애트모스 기반 뮤직비디오는 높은 완성도로 화제를 모았고, 프로젝트 공개 기간 동안 타 플랫폼에서 치지직으로 버추얼 스트리머가 대거 이적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네이버 모바일 라이브 스트리밍 앱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도 글로벌 영상 생태계 확장에 앞장서고 있다. 2019년 정식 출시된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앱은 현재까지 누적 9300만 건 이상의 방송을 송출했으며, 일 평균 약 13만 건의 라이브가 생성된다. 전체 이용자의 약 90%가 해외 사용자이며, 글로벌 동종 송출 앱 상위 20위 내에서 약 47%의 다운로드 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국내 다운로드 점유율은 약 80%로 해당 분야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네이버만의 기술력 덕분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ABP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에 맞춰 영상 품질을 자동 조정하고 글로벌 송출 안정성을 확보했다. 고품질 3D 아바타 기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술 장벽도 낮췄다. 네이버 클로바의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자막(AI 스크립트), 자동 챕터 기능도 제공된다.
네이버는 향후 XR 콘텐츠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XR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을 포괄하는 기술로, 현시점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김성호 네이버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 리더는 “네이버는 가상현실과 혼합현실의 대중화가 가속화하며, 곧 도래할 VR 기기의 보급 및 대중화 시대를 맞이하여 XR 관련 미디어 기술력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번에 선보인 비전 AI 창작 기술들의 고도화를 통해 네이버의 주요 서비스 분야에서 창작의 활성화를 이끌고 사용자들에게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생생한 미디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콘텐츠와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