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월 마이데이터 예비 허가를 획득하고, 본허가를 신청했다. 지난 3월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는 마이데이터 관련 사업을 신규 사업 목적에 추가한 바 있다.
마이데이터는 소비자가 금융회사·공공기관 등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금융 상품 가입 내역, 자산 내역 등 자신의 신용정보를 한눈에 파악해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그간 통신사들은 의무정보제공사업자로, 직접 마이데이터를 사업을 진행할 수 없었다. 사업자가 통신 데이터를 요구하면 정보를 제공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번 마이데이터 본허가를 획득하면서, 통신사들이 직접 금융사들의 데이터를 제공 받고, 활용할 수 있어 가입자에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통신데이터와 금융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에게 새로운 생활밀착형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 기존 마이데이터 사업자와의 차별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올 하반기 중 개인의 자산 관리 현황을 자동으로 진단하고 자산관리를 위한 최적의 처방을 제안하는 AI 기반 재무건강진단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한국FP협회와 협업해 학계 가이드라인 및 공인재무설계사(CFP)의 검수를 거친 모바일 환경 특화 재무진단 도구를 개발했다.
또한, 향후 새로운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A.(에이닷)·T우주·T멤버십 등 SK텔레콤의 대표 서비스와도 연계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시할 예정이다.
장홍성 SK텔레콤 광고·데이터 CO담당은 “마이데이터 본허가를 획득함으로써 SK텔레콤의 통신데이터 및 빅데이터 분석 노하우를 금융데이터와 함께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