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한국금융DB

이번 인사는 이재용닫기

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날 CEO와 임원인사를 단행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에도 12월 첫 주 수요일에 사장단 인사를 발표하고, 이틀 뒤에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당초 지난 1일 인사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4년째 대표이사를 역임 중인 김기남 DS부문장(부회장), 김현석 CE부문장(사장), 고동진닫기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가석방 신분이고, 아직 사법 리스크 등 대외 불확실성을 고려하면 사장단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조직 운영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사업부인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이재승 생활가전사업부장 등 사장단의 교체 가능성도 적다. 지난해 12월 사장으로 승진해 이제 막 1년을 채웠기 때문이다.
또 재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승진 가능성은 낮다. 이 부회장이 가석방으로 출소하면서 취업제한 규정 등 경영활동에 제약이 있고, 매주 목요일마다 삼성물산 등 계열사 부당 합병 재판도 진행하고 있어 무리하게 회장직에 오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임원급에서는 예년보다 승진 폭이 확대될 것으로 점쳐진다. 최근 삼성전자는 임원직급을 ‘부사장’으로 통합하고, 직급별 표준 체류 기간도 폐지하는 내용의 인사제도 혁신안을 발표했다. 이 부회장이 ‘뉴삼성’으로 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대규모 발탁 승진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삼성전자의 미래 성장사업으로 꼽은 AI(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등에서 혁신적인 인사를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들도 대표이사 등 최고위층은 대부분 유임하며 안정을 택하는 대신, 승진 폭을 확대해 세대교체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