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1~3분기 생명보험사 잠정 경영실적’을 통해 3분기까지 생보사들이 거둔 보험영업손실이 16조8491억 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2582억 원(8.1%) 늘어난 수치다.
저축성 보험료 수입이 4조9000억 원 감소한 데다, 해약·만기 증가로 인해 지급보험금 규모가 4조4000억 원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투자영업이익은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 처분이익 덕에 전년보다 8.4% 증가한 18조4949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 외 이익의 경우 변액보험 판매 수수료 수입 증가 등으로 9.1% 증가하며 3조7658억 원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295억 원(6.0%) 증가한 4조388억 원을 나타냈다. 그러나 순익 증가분은 영업이 아닌 삼성전자 주식 처분이라는 일회성 요인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까지 전체 수입보험료는 77조8939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3조8381억 원(4.7%) 줄었다. 보장성 보험 수입보험료가 5951억 원 증가했지만, 수입보험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저축성보험의 수입보험료 감소를 메꾸기에는 부족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IFRS17 등 자본규제 강화에 대비해 저축성 보험 판매가 크게 줄어들었지만, 보장성 보험의 매출 신장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고 평가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