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대한상공회의소는 베트남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베트남 하노이에서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양국 경협 이래 최대 규모로 열린 이날 포럼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쩐 다이 꽝 베트남 국가주석이 참석해 양국 기업인들을 격려했다.
이날 박용만닫기

이어 “한국은 베트남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나라로 자리 잡았고, 아세안에 진출한 한국 기업 중 절반 넘는 곳이 베트남에서 활동 중”이라고 말해 양국 협력이 더 긴밀해 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새로운 양국 협력 방향도 언급했다. 박 회장은 “이번 양국 간 정상회담은 협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커다란 의미가 있다”며 “우리 기업들도 새로운 협력에 맞춰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 띠엔 록(Vu Tien Loc) 베트남상의 회장은 “한국은 최대 투자국이자, ODA 최대 공여국이라”며 “한-베트남 기업 간의 협력관계는 효율적이며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고 화답했다.
록 회장은 “포럼을 통해 양국 경제상황을 비롯해 무역·투자 우대정책, 한국의 신남방정책 등 많은 유익한 정보가 제공되길 바란다”며 “한국 정부가 베트남을 신남방정책의 핵심국가로 인정하는 만큼 양국 정부와 경제인 관계도 한 층 더 격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국 경제인들은 각 국의 투자환경을 비롯해 유망진출분야와 진출성공사례를 공유했다. 베트남투자청은 ‘베트남 투자환경 및 유망진출분야’를, 산업연구원은 ‘신남방 정책과 한-베트남 경제협력 방안’을 소개했다. 하노이 인민위원회 위원장(시장)은 ‘하노이 비즈니스 환경과 사업기회’를 직접 소개했다. 삼성전자와 베트콤은행(Vietcom Bank)이 각각 ‘한-베트남 협력 성공사례’를 공유했다.
산업연구원은 “베트남의 빠른 임금상승으로 기업주도 생산협력 모델의 지속가능성 담보가 어렵다”며 “이를 해결하고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편승하기 위해서는 민관협업에 기반한 생산·혁신 통합 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한국 측에선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김영주 한국무역협회 회장,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손경식닫기



한편, 이날 대한상공회의소와 베트남상공회의소는 ‘경제협력 촉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양국 상의는 협약을 통해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베트남의 ‘중점 협력국 관계 강화 정책’이 민간 경제교류에도 확산되도록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대한상의는 “한국과 베트남 상의는 양국 무역대표단 및 사절단의 교류를 장려할 것”이라며 “투자·수출입·기술이전 등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양국의 경제 협력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함께 펼쳐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