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은 미디어 · IoT 등 New ICT 기반 신규사업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특히, SK텔레콤은 지난 2014년 이후 3년 만에 매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영업이익은 미디어 사업 성장과 11번가 수익성 개선 영향으로 0.1% 증가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지속적인 실적 호조에 따른 지분법 이익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60.1% 늘었다.
SK텔레콤은 2017년 이동통신사업의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미디어 · IoT · 커머스 · 인공지능 등 New ICT 영역에서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초석을 다지는데 주력했다.
이동통신사업은 선택약정 할인율 상향 등 수익 감소 요인에도 불구하고, LTE 가입자 확대 및 데이터 사용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견조세를 유지했다.
2017년 말 기준 SK텔레콤 전체 가입자는 3020만명을 기록하며, 30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중 LTE 가입자는 지난해 말 대비 179만명 증가한 2287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75.7%를 차지했다. 또한, LTE 가입자 기준 1인당 데이터 사용량은 전년 대비 0.8GB가 늘어난 6.0GB를 기록했다.
미디어 · IoT 등 New ICT 사업은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SK브로드밴드는 기가인터넷 · IPTV 가입자 확대 및 VoD 매출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한 3조 501억원의 연간 매출을 달성했다. 또한, IoT 솔루션 매출 등을 포함한 SK텔레콤 별도 기타 수익도 전년 대비 10.8% 늘어난 9787억원을 기록했다.
인공지능 스피커 ‘누구’를 최초로 출시하며 국내 시장을 개척한 SK텔레콤은 서비스 영역 · 콘텐츠 · 이용자를 동시에 확대하는 ‘AI 선순환 전략’으로 인공지능 경쟁력을 강화했다. 그 결과 ‘누구’ 월간 실 사용자수(Monthly Active User)는 지난해 8월 11만 명에서 12월에는 211만 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올 한해 New ICT 영역에서의 성과 창출을 본격화하고, 5G 경쟁력 확보에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5G 조기 상용화는 물론, 오프라인 세상이 ICT화되는 5G 시대의 특성을 감안해 고객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편익 창출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미 SK텔레콤은 지난 1월 역대 최대 규모의 ‘5G 전사 TF’를 구성한 바 있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미디어 영역에서 인공지능 기반 홈서비스 확대와 콘텐츠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IoT 영역에서는 다양한 비즈니스에 자사의 역량을 접목해 신규 BM을 발굴하는 등 성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SK텔레콤은 인공지능 영역에서 음악과 커머스 등 생태계를 더욱 확대해 사용자 기반을 넓히고, 성능을 보다 고도화 할 계획이다.
이동통신사업의 경우 SK텔레콤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개개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맞는 상품 · 서비스 출시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가치 혁신과 신뢰 증진을 통해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 구축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유영상닫기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