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8월 삼성동에서 열린 현대·기아차 해커톤 대회 참가자들이 프로젝트 완수를 위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24일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학생들과 일반인 위주로 실행해오던 해커톤 대회를 스타트업 업체들까지 참가시켜 그룹사 대회로 폭을 넓혀 실시한다.
해커톤 대회는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프로그램 개발자, 설계자 등이 팀을 이뤄 한 장소에서 마라톤처럼 쉼 없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완수하는 이벤트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우수한 성적을 낸 이들에게는 상금을 포함, 채용 전형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비롯해 스타트업 업체에 대해서는 상금과 함께 현대·기아차의 유력 투자 검토 대상 업체로 선정된다.
현대·기아차는 해당 스타트업에 대한 일회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협업과 공동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커넥티드카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에 적극 참여시킬 계획이다.
이는 차량IT 부문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을 과감히 도입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현대·기아차의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특히 이번 스타트업과의 협업 계획은 열악한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상생 협력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지난해까지 정의선닫기

기존 학생들과 일반인 위주였던 것과 실무진들이 포진한 업체들까지 대회에 참가시켜 본격적으로 해당 분야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해외에서 생태계 구축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지난 6월 중국의 최대 인터넷 서비스업체인 바이두와 협업해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한 바 있다. 자동차의 최대시장이자 IT분야의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시장을 통해 한 단계 유리한 위치에서 새로운 도전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시장은 미국시장 다음으로 중요한 자동차 시장으로 꼽히고 있다. 지난 2006년 전 세계 자동차판매량의 10%를 넘어섰고 4년 뒤인 2010년 18%대 점유율을 기록하며 2배에 가까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시장에서 커넥티드카 분야에서 기술을 선점하면 앞으로 시장의 변화에 보다 유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부분을 염두 해두고 현대차그룹은 중국시장을 커넥티드카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고 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