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수정 KT 부사장이 클라우드 사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KT)
KT는 18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5G 인프라를 기반 삼은 고객사 비즈니스 혁신 파트너로 거듭나기 위해 클라우드 전문인력 또한 1000명 규모로 양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KT는 이같은 시도가 성공할 경우 국내 기업들의 클라우드 도입률이 높아지면서 클라우드 시장 규모가 오는 2023년 7조원 대로 확대되는 선순환 효과를 불러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KT는 국내 시장 변화에 따라 G-Cloud(공공 클라우드)와 FSDC(금융 보안데이터 센터) 같은 주요 서비스를 가장 먼저 선보였고 데이터센터부터 네트워크, 클라우드, PaaS·SaaS서비스까지 통합 제공하고 있다.
지난 4월 KEB하나은행과 함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GLN, Global Loyalty Network) 기반 시스템을 클라우드에 도입한 데 이어 금융보안원을 통해 금융 가이드라인 적정성 테스트도 완료했다.
KT는 5G와 클라우드 기반으로 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커넥티드 카 등 융합 서비스로 기업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에도 동반자 노릇하겠다고 설명했다.
5G와 클라우드를 결합한 5G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도 B2B시장으로 확대했다. 초연결·초저지연 5G 속도를 실현시키기 위해 전국 8곳에 5G 에지 통신센터를 설치하고 IT 에지 클라우드 2개소를 추가 구축했다.
올해 하반기 선보일 5G B2B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는 AI·IoT·빅데이터 등 ICT 기술과 연계해 고객사의 비즈니스 혁신을 도울 예정이라고 KT 측은 알렸다.
또한 현대중공업지주와 5G 에지 클라우드를 활용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협업하며 세브란스병원과는 AI 응급의료시스템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
신수정 KT IT 기획실부사장은 “클라우드는 이제는 단순 인프라 서비스에서 벗어나 AI·빅데이터·블록체인 같은 기술과 융합하면서 기업들의 혁신수단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국내 최초 클라우드 사업자인 KT는 맞춤형 클라우드와 5G 강점을 살려 고객 비즈니스 혁신의 진정한 동반자가 되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리더로서 대한민국 클라우드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