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화신식화부는 ‘4차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준 인증업체’ 31곳을 발표한 가운데 삼성SDI와 LG화학은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삼성SDI, LG화학 등 국내 배터리업체는 시간을 두고 좀 더 상황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다만 국내 전문가들은 “업계의 공동 대응과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전기차 배터리 공급도 어려워 질 수 있어서다.
양사는 지난해 중국 난징과 시안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섰지만, 인증을 받지 못할 경우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사업 기회를 잃어버릴 수도 있다.
단, 중국 정부가 추가 대상업체를 수차례로 나눠 발표를 할 예정이어서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이다.
광대한 내수시장과 정책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이 자동차 사업에 뛰어들면서 국내 기업들은 힘겨운 경쟁에 직면하게 됐다.
각종 규제를 통해 자국기업을 육성하려는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까지 영역을 확장하며 국내 기업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자국의 인증을 받지 못한 배터리에 대해서는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에 혜택을 부여하고 있지만 외국 기업에는 차별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삼성SDI와 LG화학 등 한국 기업이 만드는 전기버스용 배터리 ‘니켈코발트망간(NCM)’에는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배제한 것 역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이번 발표에서 중국 정부는 자국내 회사들이 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만을 전기버스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시켰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기술과 원가 경쟁력이 뒤진 중국업체들이 선진업체들을 따라잡을 수 있도록 정부 지원과 규제를 병행할 것”이라며 “규제를 도입해 자국 업체가 성장할 시간을 벌어주는 건 중국이 쓰는 단골 수법”이라고 말했다.
한정숙 현대증권 연구원은 “향후 2~3달 동안 중국 정부의 전기차 관련 정책 변경과 강화를 주시해야 할 것”이라며 “배터리 리스트 확정, 보조금 인하 등에 대한 결과를 확인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삼성SDI와 LG화학 등 “국내 기업들은 5차 심사 때 피룡한 서류와 내용을 보완해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삼성SDI 관계자는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테스트가 이어지는 형식으로 향후 5차와 그 다음 차수도 있다”면서 “기술력이나 품질 부족으로 불합격됐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요구사항을 보완해 재도전하겠다”고 말했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발표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파악한 후 필요한 사항을 보완하여 추후 등록 완료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