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헌문 사장은 조직 개편을 마친 뒤 첫 공식자리였던 18일 서울 종각역 그랑서울에서 열린 기자단 송년회에서 “(SK텔레콤은) ‘자기기인(自欺欺人)’으로 정부와 업계, 국민을 속이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기기인은 ‘자기도 속이고 남도 속인다’는 뜻의 사자성어다. 임헌문 사장은 SK텔레콤이 최근 추진하고 있는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이 글로벌 진출을 통해 미디어 플랫폼을 강화한다는 것이 납득이 안 된다며 이에 빗댄 것이다.
임헌문 사장은 "요즘 판을 바꾸겠다는 사업자 때문에 업계가 시끄럽다"며 "방송과 통신 융합으로 판을 바꾸겠다고 하는데, 아직 방송과 통신의 융합 틀이 명확하게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른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섣부른 결정은 방송과 통신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독점이 강화돼 요금인상이나 통신산업 위축 등 부작용을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헌문 사장은 SK텔레콤의 자기기인하는 이유에 대해 "SK텔레콤이 인수합병 인가서를 제출하면서 5년간 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지난 5년 간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 양사의 투자비용을 합친 액수보다 적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SK텔레콤은 넷플릭스 등 글로벌 사업자의 국내 진출에 대비해 몸집을 불려야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으나 방송통신은 전형적인 내수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며 "SK텔레콤의 인수합병이 이뤄지면 방송플랫폼과 유·무선 통신에서의 지배력만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T CR부문장인 맹수호 부사장은 "SK텔레콤이 근거로 내세운 글로벌 통신·방송 M&A에서 M&A 대상 기업이 대체가 가능할 경우 인가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은 유료방송과 모바일 사업에서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수가 허용돼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구현모닫기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