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이사./사진=하나증권
26일 금융 투자 업계에 따르면,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는 올해 들어 고위 임원진 참석 회의에서 ‘조직문화 개선’ 의지를 여러 차례 피력했다. 하나은행 출신이지만, 증권업 생리를 잘 아는 만큼 임원진이 시장에서 더 치열하게 경쟁하도록 내부 시스템 정비를 주문한 것이다.
특히 강 대표는 ‘구체적’ 방안을 찾으라고 지시했다. 좁게는 회사, 넓게는 시장에서 내부 임직원이 한층 더 열정적으로 경쟁할 수 있도록 소통과 협업 기반의 조직문화 개선 방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더군다나 현재 하나증권 실적이 금융지주 산하 증권사 가운데 하위권인 만큼 경쟁에서 이기겠다는 ‘치열함’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하나증권은 전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자산 시장이 폭락하면서 실적이 급감했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은 966억원으로, 1년 전보다 80% 이상 줄었다.
자산관리(WM‧Wealth Management)와 기업금융(IB‧Investment Bank) 부문 순영업 이익도 1년 사이 각각 27.5%, 60.4% 축소됐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 역시 74.2% 감소한 1306억원을 기록했다. 지주 내 순이익 기여도는 2021년도 14.4%에서 2022년 3.5%로 떨어진 상태다.
이런 상황 때문에 강성묵 대표는 특단의 조치로 ‘조직문화 개선’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크다. 강 대표는 경기 상황이 성장 흐름으로 전환할 때 증권업계 선두권으로 도약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하나금융그룹 차원에서 단행한 조직문화 설문조사 결과도 강 대표 판단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하나증권 조직문화에서 치열한 시장 경쟁력을 갖추거나 성과를 갈망하는 태도가 부족했던 점을 눈여겨본 것이다.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이사(가운데)가 2023년 1월 2일 서초 자산관리(WM‧Wealth Management) 영업점을 방문해 직원들과 대화하는 모습./사진=하나증권
이미지 확대보기내부 관계자에 의하면 지금까지 조직문화 개선방안으론 ‘소통과 협업 강화’가 해법으로 거론된다. 강 대표가 함영주닫기

강 대표는 하나증권 취임 이후에도 이러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취임 첫날 서초 WM을 방문해 리테일(Retail‧개인영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연내 모든 영업점을 한 번 이상 찾는다는 목표도 세웠다.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면서 실무 일선 영업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해법을 찾는 중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강성묵 대표는 거창한 사업 전략을 짜는 데 골몰하기보다 임직원 개개인이 한 발 더 뛰는 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며 “그동안 은행 계열이 없는 한국투자증권(대표 정일문닫기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