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대표 이혜민·박홍민)는 지난해 낮은 수수료 구조를 통해 중소형 저축은행의 시장 진출을 돕는 등 금융기관과의 상생경영 실천에 앞장섰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핀다에서 가장 많은 대출을 실행한 저축은행 상위 5개사의 수수료 분석 결과 오프라인 대출모집인과 비교했을 경우 1개 저축은행 당 월평균 1억1779만원의 수수료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핀다 관계자는 “고객을 모으기 위해서 오프라인 지점과 모집인 운영 비용 및 마케팅에 쓰이는 각종 판관비용 등을 획기적으로 아낄 수 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대출비교 플랫폼의 수수료와 비교했을 경우 핀다가 보다 저렴한 수수료를 수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 수수료율 구조를 갖춘 다른 플랫폼과 핀다 수수료를 비교하면 5개 저축은행사의 월평균 수수료는 약 2548만원 차이가 발생했다. 핀다 관계자는 “업계 최초·유일하게 금리 연동형 수수료 체계를 갖추고 있어 금융회사가 고객에 제공하는 금리를 낮추면 자동적으로 대출모집 수수료가 내려간 것”이라고 밝혔다.
핀다와 제휴한 63개 금융회사 중 매월 5곳 이상이 우대금리 이벤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우대금리는 월평균 1.69%p에 달했다. 또한 기존 고객 유치가 어려웠던 중소형 저축은행들의 핀다 앱 서비스를 통한 대출 취급액 규모가 지난해 64% 증가했다. 대형 저축은행의 규모 성장세 41% 보다 높은 수치다.
핀다와 제휴하고 있는 H저축은행 관계자는 “핀다는 대출비교 플랫폼 중 가장 합리적인 수수료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지난해 10월만 수수료 비용을 계산해보니 고정 수수료를 받는 타 플랫폼 보다 약 45%나 절감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핀다와 제휴 중인 한 캐피탈 업체 관계자는 “금리와 연동되는 핀다의 수수료 구조 덕분에 고객을 위한 우대금리 설계를 더욱 많이 할 수 있어 긍정적”이라며 “실제로 핀다와 손잡은 이후 고객이 늘고 매출 또한 22% 정도 늘어나 앞으로도 핀다와 꾸준히 파트너십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핀다는 수많은 금융사의 다양한 대출상품 중 고객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휴 금융사와의 동반성장을 꾀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수수료 체계를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금융사와 핀다가 고객을 위해서 함께 만들어낼 수 있는 상생경영 시스템을 다각도로 구축하고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