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이 13일 ‘2021 한국금융투자포럼’에서 ‘전환기 글로벌 증시 성공 투자 포인트’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강방천닫기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이후 자본 시장은 역대 최고 유동성 팽창 국면에 돌입했다. 이에 강 회장은 “추가적인 금리 하락은 어렵다”라며 “본격적인 금융 수축기 상황에 돌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패시브 펀드란 시장 평균 기업의 주식이나 시장의 지수를 사는 것을 의미한다. 강방천 회장은 패시브 펀드를 비판하며 “유동성이 꺾였을 때 이 부분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과잉 유동성이 만들어낸 패시브 펀드 전성기가 종말을 맞이했다”고 언급했다.
강 회장은 이에 대해 “시장보다 평균 이상의 기업과 액티브 펀드에 주목하라”고 했다. 즉, “유동성 효과와 결별할 때가 왔다”며 “가치지향적인 펀드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유동성 수축은 결국 어떤 기업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가려낼 수 있다”며 “어떤 기업이 가치의 결과인지 혹은 유동성의 결과인지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누가 승자인지 패자인지 결정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