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은 11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문재인 케어로 실손보험사에 돌아갈 반사이익이 상당한 점을 지적하며 "민간의료보험도 최소한의 공적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반사이익을 방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손해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보고서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문재인 케어를 통해 실손보험사에게 돌아갈 반사이익이 총 7731억 원, 2022년까지 최대 1조8954억 원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실손보험금 지급 청구 영수증 자료 39만6000건을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추진된 1기 문재인 케어 정책(아동입원본인부담 인하+상복부 초음파 급여화+선택진료 폐지)으로만 실손보험사는 총 6.15%의 반사이익을 얻었다. 2기 문재인 케어 정책(초음파·MRI 급여화) 추진 시 4.07%의 반사이익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보건복지부와 금융위원회는 실손보험사들의 보험료 인상률을 6.15% 가량 낮췄다. 하지만 2기 문재인 케어를 통해 받을 반사이익 4.07%에 대해서는 보험료 인하가 이뤄지지 않았다.
윤 의원은 "향후 개발되는 실손보험상품 역시 문재인 케어로 인한 반사이익이 가지 않도록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며 "공·사보험 간 연계로 민간의료보험도 최소한의 공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앞서 복지부와 금융위가 KDI에 의뢰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치료 필요성이 인정된 비급여를 모두 급여화할 경우에는 보험금 감소 규모가 13.1~25.1%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의료행위 약 700개, 치료재료 약 2,900개 등 총 3,600개 항목을 급여화 하고 본인 부담률을 50~90%로 적용했을 경우 예상되는 효과다.
각 부처는 비급여의 급여화 세부 이행방안이 확정되는 경우 실손 보험료 조정에 추가 반영할 것이라는 방침을 전한 바 있다.
김용범닫기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