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수웅 신한저축은행 대표./사진=신한저축은행
5일 신한금융지주 상반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신한저축은행 올해 상반기 순익은 1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 감소했으나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KB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 등 지주계 저축은행 중에서는 순익 1위를 기록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 순익은 112억원, KB저축은행은 9억원, 하나저축은행은 -231억원였다.
부동산 PF 부실, 대출 규제로 저축은행 업계 보증부 대출 경쟁이 치열해졌지만 자산 규모도 유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신한저축은행 자산은 2조8254억원으로 작년 말 2조8791억원보다 감소했지으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보증부 대출 경쟁이 심화된 상황에서 신한저축은행은 모바일 대출 프로세스 고도화, 핀테크 채널 고객 관리를 중심으로 우위를 점했다고 설명했다.
신한저축은행은 여신과 수신으로 나뉘어 있던 기존의 모바일 앱을 ‘신한저축은행 디지털뱅크 : 신디(SINDI)’라는 이름의 통합 앱으로 일원화한 바 있다.
‘앱(App)’을 통해서만 가능하던 모바일 전자약정도 ‘모바일 웹(Web)’에서 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했다. 한 번의 대출 신청으로 2개 이상의 대출상품 계약이 가능하도록 한 ‘멀티취급 프로세스’를 도입해 번거로움도 해소했다.
토스, 카카오페이 등 혁신금융 사업자와의 업무 제휴를 활발히 추진,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서민금융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신한저축은행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모바일 대출 프로세스를 고객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다"라며 "핀테크 업체 등을 통한 고객 유입 창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있어 일정 규모 수준 자산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신한저축은행 상반기 대손충당금은 1505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1294억원 대비 211억원 증가했으며, 연체율은 6.31%로 작년 상반기 대비 0.93%p 증가했다. NPL비율은 7.6%로 작년 상반기 7.75% 대비 0.15%p 감소했다.
경기 불황으로 대손충당금, 연체율은 증가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건전성 지표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신한저축은행 관계자는 "보증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있다"라며 "시장 상황에 맞춰 부실자산 매각과 상각을 진행, 리스크 관리 지표를 개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수익성 확대를 위해 건전성 관리를 강화, 기업여신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신한저축은행 관계자는 "보증부 여신과 리스크를 감안한 기업여신 확대에 집중하고자 한다"라며 "지속적으로 건전성 지표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 = 신한저축은행
전하경 한국금융신문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