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5G 이동통신 상용화에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박정호닫기



지난 1월 5일과 2월 27일에도 간담회를 개최해 5G 통신망 조기 구축 및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민․관 협력의 의지를 다진 바 있다.
그간 정부와 통신사는 주파수 확보, 망 구축 지원, 융합서비스 발굴 등 분야별로 각자 맡은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 왔고, 그에 따라 필수설비 제도개선, 주파수 경매 등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간담회는 정부와 통신사가 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위해 노력해온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 및 일정을 함께 점검하면서 각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메리어트파크센터에서 열린 ‘통신 3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황창규 KT 회장,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이미지 확대보기간담회는 5G 상용화 과정에서 정부가 할 일, 민간이 할 일을 짚어보고 5G를 완성해가기 위한 점검의 의미로 가지는 것이며, 정부가 할 일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의 정책방향을 미리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긍정적 방향으로 협조를 구하기 위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유 장관은 “5G 상용화를 통해 서비스-장비-단말-콘텐츠 등 연관 산업이 모두 함께 발전하고 타 분야로 그 경제적 효과가 파급되면서 ICT 생태계와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이어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상용화 국가가 되어 5G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서 사업자간 최초 경쟁을 지양하고 우리나라가 최초가 되는 Korea 5G Day를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 3사가 공동으로 5G 서비스를 개시하는 데 합의하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5G 상용화를 통한 관련 산업 특수 등 시장 선점효과를 관련 업계에서도 누릴 수 있도록 동반 성장과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한편, 5G 시대에는 데이터 소비량 증가로 인해 일반 국민들의 통신비 부담 상승 등 이용자 권익이 저해되지 않도록 당부했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