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창규 KT 회장. 사진=KT

재계는 황 회장이 지난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과 함께 공기업 짙은 KT가 현 정부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 통신요금 인하 정책을 수용하지 않고 있다는 해석이 분분하다.
방중 경제사절단에서 제외된 KT는 현지 사업법인 3곳이 있음에도 “통신사업과 관련된 내용이 없다”는 입장 내놓고 있어 향후 중국 사업 진행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한·중 간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이 해빙 무드로 접어들고 양국 간 교역 정상화에 대해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경제사절단에 참가하겠다는 신청자가 많았다.
5대 그룹에서는 최태원닫기



또 김승연닫기






롯데그룹은 신동빈닫기



금융권에선 위성호 신한은행 은행장, 허인 KB국민은행 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 은행장, 손태승 우리은행 은행장, 김도진 중소기업은행 은행장, 채종진 비씨카드 사장 등을 포함하면 대기업에서는 총 35명이 참가한다.
김영민 SM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진영환 삼익THK 회장, 이환성 세라젬 회장 등 중견기업은 29명, 중소기업은 160여 명이 중국에 간다.
이번 경제사절단에서 황창규 KT 회장에 이름은 없었다. 재계는 지난 정부 시절 황 회장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서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실제 지난해 말 검찰은 최순실의 최측근인 차은택이 안종범 전 청와대 안보수석과 공모해 KT 인사에 관여한 정황을 포착했다.
당시 황 회장은 안 전 수석의 전화를 받고 차은택의 지인을 전무 자리에 앉힌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용 비리를 통해 요직에 앉은 인물은 차 씨의 회사에 광고 일감을 몰아준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을 빚었다.
이 같은 이유로 올 정부 들어 단 한 번도 경제사절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앞서 지난 6월 미국과 11월 인도네시아 경제사절단에 이어 황 회장은 3회 연속 이름이 제외됐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통신은 전략산업이라 다른 나라에 안 내준다”며 “규모가 큰 회사지만 한국에서 통신사업 못한다”고 궁색한 변명만 내세웠다.
이 관계자는 “사절단이란 게 선물 보따리를 가져가고 받아오는 건데, 제조업이나 대규모 공장 짓겠다는 등으로 갈 수 있다”면서 “통신사업을 하는 황 회장이 사절단에 가면 낭비다”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 직접적인 사업 모델이 없다”며 “BC카드가 중국에서 유니온 페이 사업을 하고 있어서 채 사장이 중국을 가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확인한 결과 KT는 중국에 사업장이 3개나 있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3분기 기준 중국과 홍콩에 각각 1개, 2개가 운영 중에 있다. 이들 회사의 사업 목적은 유선통신사업과 투자사업, 현지 창구업무 등으로 표기됐다.
또한 지난 9월 KT는 중국 콘텐츠 사업자와 손을 잡았다. 당시 KT는 중국 차이나모바일 자회사인 ‘미구’와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해 양국 간 콘텐츠 사업 교류를 확대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구는 현재 가입자 5억 명을 대상으로 음악, 게임,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전문회사다.
이와 관련해 재계 관계자는 “KT가 잇따라 황 회장이 경제사절단에서 제외된 것을 감싸기 위해 중국과 관련된 사업이 없는 것처럼 포장하고 있다”면서도 “현 정부와 불편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