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중국의 관광 관련 주무부처인 국가여유국(國家旅游局)은 이날 회의를 열고 베이징(北京), 산둥(山東)성 지역 일반 여행사들에 한해 1차적으로 한국 단체 관광을 허용하기로 했다. 단, 사드부지를 제공한 롯데의 호텔‧면세점 관련 상품은 전면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나 만일 롯데 관련 상품만 제외한 것이 사실이라면 당혹스러운 상황”이라며 “사드배치라는 국가 정책에 따라 피해를 입어왔는데 완화에 있어도 배제하는 것은 억울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한‧중 양국의 사드갈등에 따른 관계개선 합의 소식에 롯데는 입장문을 통해 “정상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며 반색했지만, 완화 조치에서도 중국의 노골적인 제재가 가해지자 허탈함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앞서 중국 당국은 지난달 6개월째 미뤄왔던 롯데그룹의 청두(成都) 복합상업단지 건설 공사 인허가를 발급했다. 당시 업계에서는 이를 롯데에 대한 중국의 사드보복 해제 신호로 풀이하면서 함께 중단된 선양(瀋陽) 롯데타운의 공사 재개 건이 거론됐으나, 그 이후로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는 게 롯데 측의 설명이다.
점포 99개 중 87개가 문을 닫은 중국 롯데마트 정상화 소식도 여전히 들리지 않는 상태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중국의 영업정지 조치가 시작된 이후로 당국으로부터 별 다른 통보를 받지 못했다”며 “현지 점포 매각 건은 계획대로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중국의 영업정지 등 사드보복으로 올 한해 피해액이 1조 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롯데그룹은 지난 9월 매각설을 공식화하고 주관사를 골드만삭스로 정했다. 앞서 한중 관계개선 소식이 전해졌을 당시에도 롯데는 마트 매각은 그대로 추진하겠다고 못 박았다.
롯데는 이번 한국 단체관광 일부 해제가 사드보복 완화의 시작으로 풀이되는 만큼 다음달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에 기대를 걸어보겠다는 입장이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내달 진행되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사드보복 완화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 오고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단계적으로라도 해결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