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G마켓
31일 G마켓이 올해 3분기 남녀고객의 쇼핑 객단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성의 구매 객단가가 여성보다 평균 7%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고객이 제품 하나를 사는데 1만원을 썼다면, 남성고객은 1만 700원을 쓴 셈이다.
반면 같은 기간 매출은 여성고객이 남성보다 40% 가량 높았다. 남성이 여성 보다 비싼 제품을 구매하지만, 쇼핑 빈도수는 여성고객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남녀고객의 구매 객단가는 품목에 따라 엇갈렸다. 남성들은 주로 취미와 관련된 쇼핑을 할 때 여성 보다 씀씀이가 컸다.
대표적인 취미용품인 카메라의 경우 남성의 구매단가가 여성에 비해 27%나 높았다. 등산과 음향기기 분야도 남성이 여성보다 각각 19%, 18%씩 객단가가 높았다.
게임을 즐길 수 있는 PC‧노트북 품목도 여성보다 16% 객단가가 높았다. 이밖에 악기(13%), 자전거(10%) 등 취미와 관련된 대부분의 품목에서 남성이 여성 보다 비싼 제품을 찾았다.
반면 여성들은 쥬얼리와 화장품 등 뷰티 관련 품목에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객단가를 보였다. 쥬얼리와 화장품(향수) 품목은 여성고객이 남성보다 구매단가가 각각 9%, 7%씩 높았다. 화장품(향수)도 여성이 7% 가량 객단가가 높았다.
이외에도 가구(7%), 건강식품(4%), 바디‧헤어(3%), 조명(2%) 등의 품목도 여성고객의 객단가가 높은 품목으로 꼽혔다.
남성헌 G마켓 마케팅실장은 “남성고객의 경우 쇼핑 빈도는 여성고객 보다 적지만 한번 지갑을 열면 더 통 크게 쇼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특히 취미용품의 경우 여성에 비해 훨씬 더 과감하게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