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21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 27부 심리로 열린 이재용닫기

이어 “이에 따라 압박을 느꼈다”며 “국민연금은 투자 부분에 있어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의견을 통상적으로 수용하는데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처럼 직접적인 지시가 내려온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특검이 ‘압박이라고 느낀 이유가 뭐냐’라고 묻자 ‘이례적인 조치였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홍 전 본부장은 “보건복지부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실무진들이 합병 반대 의사를 내비치자, 조남권 국장이 ‘합병에 반대하느냐?’라고 되물었다”라며 “보건복지부가 과거와 달리 직접적인 지시를 내렸다”고 증언했다.
특검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이 논의된 2015년 7월 10일 이경직 해외증권실장 등을 불러 ‘잘 돼야한다’고 말한 것이 ‘합병 찬성에 동의하라는 언급 아니냐’라고 질의하자, 홍 전 본부장은 ‘합병 찬성에 동의하라는 말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는 “당시 합병 찬성의 경우 삼성 편들어주기라는 비판, 합병 반대의 경우 외국계 투자자의 손을 들어줘 ‘매국노’라는 비판을 듣고 있던 상황”이라며 “이 실장 등에게 ‘잘 돼야한다’고 말한 것은 찬성 쪽으로 의결하라는 지시가 아니었다”고 증언했다.
홍 전 본부장은 삼성 측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비율 변경을 거절했다고도 발언했다. 그는 2015년 7월 7일 이뤄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의 독대에서 “삼성물산은 합병 비율을 10% 올리고, 제일모직은 10% 낮추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으나 삼성 측에서 이미 공고된 합병비율을 조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며 “이에 따라 삼성물산 주주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중간배당 실시를 요청했다”고 증언했다.
특검이 ‘왜 이재용 부회장을 만났느냐’라는 질의를 던지자 그는 “삼성물산 주주들의 권익이 심각하게 훼손된 상황에서 최고 의사결정권자의 설명이 필요해서 만났다”며 “이 자리에서 중간배당 실시 제의했고, 이 부회장은 추후 주주환원책과 삼성테크윈, 삼성토탈을 비롯한 비 핵심 사업을 정리하겠다는 향후 비전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