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소송의 쟁점은 이른바 '노태우 비자금'이 재산분할 대상이 되느냐였다.
앞서 2심 재판부는 1991년경 노 관장의 부친인 노태우 전 대통령은 최 회장의 부친인 최종현 회장에 약 300억원을 건냈고, 이는 SK그룹 성장에 기여했다는 노 관장 측 주장을 인정했다.
그러나 이날 대법원은 "이 돈은 뇌물로 보인다"며 "법적 보호가치가 없어 재산분할에서 기여 내용으로 참작해선 안 된다"고 판단했다.
또 대법원이 2심과 다르게 판단한 부분은 최 회장이 친인척에 증여한 자산이다. 최 회장은 동생인 최재원닫기

대법원은 이를 '최 회장의 안정적인 그룹 경영권 승계를 위해 친인척들이 양보해준 것에 대한 보상'이라고 해석했다.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라는 부부공동재산 유지 목적이 있기에 재산 분할 대상이 아니라는 판단이다.
단 부부관계 파탄 책임이 있는 최 회장이 노 관장에 지급해야 할 위자료 20억원은 2심 판결대로 최종 확정했다.
이날 대법원 판결로 서울고등법원은 재산분할 규모와 비율을 다시 조정하게 됐다. 최 회장에 유리한 판결이 나온 부분이 많은 만큼, 1조3808억원에 달하는 재산분할금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SK 주가 차트(2025.10.16) 출처=네이버 증권
한편, 이날 SK 주가는 전날 종가 대비 5.6% 하락한 상태로 장을 마쳤다.
최 회장은 재산 대부분을 SK·SK실트론 등 주식으로 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대법원이 노 관장 손을 들어줬다면 최 회장은 조 단위 재산분할금을 지급하기 위해 SK 주식을 처분해야 할 가능성이 있었고, 이는 경영권 리스크 확대로 이어질 수 있었다.
주가 하락은 'SK 경영권 분쟁 확대에 따른 주가부양'을 노린 단기 자금이 빠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