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타워. /사진제공=롯데물산
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지주는 최근 지라시 작성 및 유포자를 찾아내 신용훼손 혐의로 처벌해달라고 서울 강남경찰서에 수사를 요청했다.
롯데지주는 이와 관련해 “현재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11월 16일 두 개의 유튜브 채널이 ‘롯데그룹 공중분해 위기’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게재했고, 이튿날 관련 내용을 요약한 지라시가 유포됐다. 유튜브 콘텐츠에서는 그간 롯데 계열사 관련 각종 보도 내용을 짜깁기하고, 기사 수십 개를 나열하며 논란의 여지를 뒀다. 하지만 유포된 지라시에는 단정적인 표현의 허위 사실이 담겨있어 논란이 됐다.
지라시에는 ▲12월 초 모라토리엄(지급유예) 선언 ▲그룹 전체 유동성 위기 ▲한샘과 일진머티리얼즈·미니스톱·중고나라 인수 실패 ▲롯데건설 미분양으로 계열사 간 은행권 연대보증 치명타 ▲유통 계열사 중심으로 전체 직원 50% 이상 감원 예상 등이 담겼는데 이는 모두 거짓으로 확인됐다.
이후 롯데는 18일 “유동성 위기 루머는 사실무근”이라고 공시했고, 루머 생성·유포자에 대한 법적조치 검토에 착수했다.
이 지라시로 롯데지주,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등 그룹의 주요 계열사가 한때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롯데는 이런 어려움 속에 위기 진화 작업에 나섰다.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부실 면세점 일부를 철수하고, 롯데케미칼의 해외 자산 매각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그룹의 핵심 자산인 롯데월드타워를 롯데케미칼 지원 담보로 제공한다. 롯데케미칼이 발행한 약 2조 원 규모의 회사채가 기한이익상실(EOD)에 해당하는 문제가 불거지면서다.
대대적인 인적 쇄신에도 나섰다. 지난달 28일 정기 임원인사에서 최고경영자(CEO)의 36%를 물갈이했다. 이를 포함 그룹의 전체 임원 규모를 지난해 말보다 13% 줄였다.
올해 롯데는 임원인사 방향으로 ▲경영체질 혁신과 구조조정 ▲고강도 인적쇄신을 통한 본원적 경쟁력 확보 및 성과 창출 ▲내부 젊은 인재 중용과 외부 전문가 영입 ▲경영 효율성 강화라고 설명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