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불닭에 쫓기는 농심 신동원 ‘신라면 승부수’ 던진 곳이...

손원태

tellme@

기사입력 : 2024-05-27 00:00 최종수정 : 2024-05-27 08:13

프랑스·스페인 등 유럽 시장 본격 공략
파리올림픽 적극 활용...유럽법인도 추진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 신라면을 즐기는 미국 소비자들 (1)

▲ 신라면을 즐기는 미국 소비자들 (1)

▲ 신라면을 즐기는 미국 소비자들 (2)

▲ 신라면을 즐기는 미국 소비자들 (2)

[한국금융신문 손원태 기자] 농심이 삼양식품 맹추격을 뿌리치기 위해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선다. 프랑스 대형 유통망 르끌레르, 까르푸에 공식 입점해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 유럽 전역을 겨눈다는 계획이다. 신동원닫기신동원기사 모아보기 농심 회장도 유럽 시장 가능성을 보고, 법인을 추진하는 등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농심은 6월부터 프랑스 대형 유통업체 르끌레르와 까르푸에 자사 라면을 대거 입점하기로 했다. 기존 신라면 외에 너구리, 새우깡, 양파링 등 인기 제품 물량을 늘려 현지인들에 선보인다. 농심은 또 프랑스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스포츠 마케팅과 팝업 등을 추진하면서 K푸드 매력을 적극 알린다.

농심은 프랑스 외에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서남부 지역을 함께 공략한다. 스웨덴, 덴마크 등 북유럽 지역도 현지 유통망을 활용해 매대에 제품을 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심은 오는 2025년 초 유럽 판매법인을 설립, 현지 마케팅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농심이 다음 타깃으로 유럽을 지목한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해외에서 높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과 두 번째는 농심 해외 사업도 그만큼 탄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 신동원 농심 회장

▲ 신동원 농심 회장

농심은 1분기 매출이 8725억원으로, 전년(8604억원) 대비 1.4%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전년(638억원)보다 소폭 하락한 614억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삼양식품은 매출 3857억원을 기록해 전년(2456억원) 대비 57.0% 폭등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239억원)보다 4배가량 뛴 801억원을 냈다.

이에 삼양식품은 주가가 30% 이상 오르는 등 시가총액이 무려 4조에 육박하고 있다. 반면 농심은 시총이 2조 중반대에 머물러 있다. 지난해 매출 기준 농심이 삼양식품의 약 3배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다. 미국 유명 래퍼 카디비 등이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을 극찬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불티나게 팔리면서다.

농심 해외 매출 비중은 약 40%대로 추정된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효과로 해외 매출이 70%대 이상을 기록한다. 이에 신동원 회장은 농심 해외 매출 비중을 50%대로 늘리겠다고 공언했다.

다행히도 농심은 신라면 외 너구리, 짜파게티, 새우깡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농심은 현재 중국, 미국, 일본, 호주, 베트남, 캐나다 등에 해외법인을 두고 있다. 그중 해외 생산공장은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6곳이다. 특히 농심은 지난 2022년 미국에 제2공장 준공 후 해외법인 매출도 급등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 네덜란드 버스정류장 신라면

▲ 네덜란드 버스정류장 신라면

▲ 네덜란드 트램에 랩핑된 신라면

▲ 네덜란드 트램에 랩핑된 신라면

▲ 영국 택시에 랩핑된 신라면블랙

▲ 영국 택시에 랩핑된 신라면블랙

농심의 지난해 매출은 3조4106억원으로, 전년(3조1291억원) 대비 9.0% 신장했다. 그중 해외 법인 매출은 9801억원으로, 전년(9205억원)보다 6.5%나 뛰었다. 농심은 중국을 제외한 미국, 일본, 호주, 베트남 전 법인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미국 법인은 생산량 증가로 매출이 전년(5613억원)보다 10.4% 오른 6198억원을 기록했다.

농심은 해외에서 K-라면이 강세를 보이는 것에 착안해 국내 수출전용 공장도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바다와 맞닿아 있는 평택, 부산 등을 중심으로 적정 부지를 살펴보고 있다.

농심은 지난해 신라면으로만 1조2100억원을 벌어들였다. 연간 판매량만 16억6000만 개다. 1초에 53개씩 팔리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신라면은 농심 유럽 지역 라면 매출에서 70%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농심이 유럽에 법인을 세우고, 신라면 외 다른 제품으로 물량 공세를 펼치려는 이유다.

신동원 농심 회장은 지난 3월 열린 정기 주총에서 “현재 수출이 좋아 유럽 지역에 판매법인을 설립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 중”이라며 “경기도 평택(포승공장), 부산(녹산공장) 등 기존에 확보된 부지에 수출전용 공장을 세우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라고 했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