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13일 국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정은보닫기





금감원은 BIS(국제결제은행)가 제시한 금융당국의 역할에 기반해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며, 기업은 해당 업종별 기후리스크 관련 데이터 분석 및 연구협력을, 이화여대는 연구방법론 및 모형 개발을, 영국대사관은 관련 자문 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BIS는 정부, 기업,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합리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입장을 조율하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은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인한 기업 및 금융회사의 손실을 예측해 경영 의사결정의 불확실성 관리에 활용될 예정이다. 협약 참여기관들은 공동으로 모형을 개발한 후 각자의 니즈에 맞게 변형해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금융회사 및 기업이 기후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규제가 아닌 지원’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계획이며, 금융감독 뿐만 아니라 산업 및 경제 측면에서 상당한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금융감독 측면에서 기후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감독 역량이 강화될 전망이며, 산업·경제 측면에서는 기업의 기후리스크 관련 경영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친환경적 경영전략 수립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해 금융 감독당국과 기업·학계·외국당국이 처음 시도하는 협력 방식으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은 녹색금융 추진 TF를 통해 추진중인 기후리스크 관리·감독계획에 반영될 예정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