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003년부터 2016년까지 14년 간 가계동향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218만원에서 359만원으로 64.3% 증가한 반면 소비지출은 170만원에서 255만원으로 50.0% 증가에 그쳤다고 22일 밝혔다.
처분가능소득이란 가구의 평균 소득 가운데 공과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소득이다.
같은 기간 1분위계층(최하위 20%)에서 처분가능소득이 58.8%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38.1% 증가했다. 반면 5분위(최상위20%)는 처분가능소득 64.5% 증가에 소비지출은 52.7% 증가했다.
예를 들어 소비 성향이 변하지 않았다면 1분위 소비지출은 2003년 92만원에서 2016년 146만원으로 54만원 증가했어야 했지만, 실제 소비지출은 127만원에 그쳤다. 소비 성향 변화로 19만원의 소비가 없어진 셈으로 54만원 대비 35.2%가 잠식된 것이다.

출처=한경연, 자료=통계청.
소득별로는 저소득층인 1, 2분위의 경우 주거·수도·광열, 보건의료 등에서 소비가 빠르게 증가했다. 4분위 이상에서는 교육비가 빠르게 증가했고, 자동차구입 등 수요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분위에서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수요가 증가했다. 렌탈서비스 및 가사도우미 이용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