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 중장기 매출 계획. 자료=현대모비스.
26일 현대모비스는 올해 25조원으로 예상되는 존속 모비스의 매출 규모를 매년 8%씩 성장시켜, 2022년에는 36조원, 2025년에는 44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2025년 매출 목표 44조원 중 11조원(25%)은 자율주행·커넥티비티카와 같은 미래차 사업 부문에서, 7조원(16%)은 제동·조향·전장 등 차세대 핵심부품 부문에서 달성한다는 목표다. 나머지 26조원의 매출은 해외법인 등 투자사업 부문을 통해 창출키로 했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 미래 신사업 확대 위해 M&A 추진
현대모비스는 독자적인 기술 확보을 위해 기업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추진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그룹의 최상위 지배회사로서 미래 신기술과 신사업 확대를 앞당길 수 있는 주도적인 투자 결정을 통해, 그룹의 미래전략을 선도한다는 역할의 일환이다.
아울려 현대모비스는 현재 이 조직을 중심으로 자율주행과 커넥티비티 분야의 핵심기술인 센서, S/W 알고리즘, HMI(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플랫폼 등 기술 역량을 보유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규모와 형태에 관계없이 M&A와 투자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율주행과 커넥티드카 등 미래차 분야에서 IT 기술의 접목이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이종 산업갑 융합을 선도해 나가기 위한 차원이다.
앞으로 이러한 기술 확보를 위한 목적 외에도 고객 다변화와 신규시장 진입을 위해 경쟁 부품사를 인수합병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하는 한편, 신흥시장의 로컬 고객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도 병행해 추진한다는 것이 현대모비스의 M&A 중장기 전략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전략적인 M&A는 중장기 사업목표 달성을 앞당길 수 있는 또 다른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요소기술 보유업체, 시스템 및 플랫폼 기반 업체, 그리고 미래 핵심부품 공급업체에 이르는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인수 합병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번 분할합병으로 존속모비스에 투자사업 부문이 신설되고 그룹 지배회사로서의 역할과 책임이 강화됨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미래 자동차산업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와 M&A를 보다 주도적으로 수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이 지주회사 체제가 아닌 현대모비스를 정점으로 한 지배회사 체제를 택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도 대규모 M&A에 대한 제약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현대차 그룹의 대규모 M&A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그룹 차원에서 이러한 활동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이 미국과 한국에 이어 올해 이스라엘, 중국, 독일 등에 추가로 설립할 예정인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와의 공조도 강화될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하고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대응하기 위해 현대모비스가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와 협업해 우량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대규모 인수합병이 필요한 경우엔 현대기아차와 공동으로 인수를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자율주행·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적극 육성
현대모비스는 ‘3대 중점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현대모비스의 미래차사업은 자율주행 분야의 센서, 제어·판단로직, 전자제어장치(ECU) 컨트롤러 및 커넥티비티 분야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요소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핵심기술을 융합해 자율주행 플랫폼과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완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차에 장착되는 레이더, 카메라, 라이더에 이르는 모든 센서에 대한 자체 기술을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보해 양산 적용하기로 했다. 원격 전자동 주차, 자동 제동, 차선이탈방지 등 기존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전문사와의 협업을 통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에 주력한다. 기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제동/조향/안전/제어 부문의 하드웨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과 함께 자율주행 플랫폼을 완성하기 위해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전장부품과 S/W기술의 역량 강화와 함께, 자율주행·커넥티비티 등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시장에서의 핵심기술 확보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