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14일 공시한 2025년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연결 기준 매출 3324억 원, 영업손실 419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지난해 2분기 366억원 대비 적자폭이 커졌다.
제주항공은 올 2분기 운항 편수를 전년 동기보다 약 8% 줄였다. 정시 운항률은 78.9%로 전년 동기 대비 4.3%포인트(p) 높였다. 정비로 인한 지연율은 올 2분기 0.44%로 전년 동기 대비 0.26%p 낮췄다.
제주항공은 올 2분기 실적 부진 요인으로 비용 증기와 여행 수요 둔화를 꼽았다. 원∙달러 평균 환율이 증가하며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로 결제하는 비용이 늘었다. 운항 편수 축소로 인해 매출이 감소하고 여행 수요 증가세가 둔화됐다는 분석이다.
제주항공은 올 들어 B737-8 항공기 4대를 구매 도입한데 이어 연말까지 구매기 2대를 추가 도입해 여객기 평균 기령을 낮추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향후 계약 기간이 만료된 리스 항공기는 반납하고, 신규 항공기를 구매 도입하는 항공기 운용 방식 변화로 지속 가능한 이익구조를 갖춰 연간 14%가량 운용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방침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올 상반기는 운항 안정성 강화를 통해 신뢰도 확보에 집중했다"며 "하반기에는 기단 현대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운용 방식 변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이익구조를 갖춰 실적 개선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