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백화점은 오는 21일부터 인공지능(AI) 쇼핑가이드 '로사'를 출시한다. 롯데백화점 제공
로사는 모바일을 통해 고객과 음성 대화 및 채팅이 가능하며 기존보다 정교하게 고객에 맞는 상품을 제안해주는 서비스다. 온·오프라인 채널 별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유통 서비스를 상용화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로사’가 처음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롯데백화점은 엘롯데 어플리케이션(앱)이나 사이트를 통해 모바일로 로사 서비스를 제공하며, 로사는 ‘AI 딥러닝 추천엔진’을 사용해 고객의 온‧오프라인 구매 패턴을 통해 구매‧행동‧관심도‧선호도 등 약 100여 가지의 고객 특징을 분석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롯데백화점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객들이 상품을 구매할 때 브랜드 직원의 추천에 의지한다는 점에 착안해 실제 브랜드 직원과 고객을 대상으로 약 300여회의 인터뷰 및 현장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약 150만개의 상품 데이터를 20여가지의 구매 특성에 반영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했다. 또 생일과 크리스마스 등 특정 기간에 적용할 수 있는 약 240여개의 추천 대화 시나리오를 준비해 고객의 다양한 상황에 따른 상품 추천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아울러 로사는 실제 상품을 촬영하면 로사가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 및 비슷한 스타일의 제품까지 한번에 제공하는 ‘이미지 인식(VR)’도 탑재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12월 한국 IBM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클라우드 인지 컴퓨팅 기술인 ‘왓슨 솔루션’을 도입했으며, 올해 1월에는 롯데백화점 내 AI팀을 구성하고 인공지능 챗봇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챗봇 프로젝트는 IBM에서도 세계 최초로 추진한 만큼 5개국 약 40여명의 글로벌 인력과 200여명의 국내 인력이 투입됐다.
롯데백화점은 시범 운영 뒤 로사를 내년 1월에 그랜드 오픈할 계획이다. 향후에는 백화점 매장에서 고객들이 로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계획중이며, 롯데 계열사의 다른 오프라인 매장 및 온라인 몰에도 확대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김명구 롯데백화점 옴니채널담당 상무는 “로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거대한 양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자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고객의 사용이 늘어날수록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위도 진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