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최근 일부 라면제품에서 GMO 성분이 검출된 경위를 조사한 결과, 면의 원료가 되는 미국산 밀과 밀가루에 GMO 농산물이 미량 혼입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미국·호주·캐나다에서 수입된 밀과 밀가루 총 82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미국산 밀과 밀가루에서 안전성 심사를 거쳐 식용으로 승인된 GMO 대두 또는 옥수수가 17건 검출됐다.
미국산 밀과 밀가루에서 검출된 GMO 대두 또는 옥수수 혼입비율은 평균 0.1%(최고 0.39~최저 0.02%) 수준이었다. 호주산과 캐나다산 밀과 밀가루에서는 GMO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식약처는 “GMO 대두나 옥수수가 미국 현지 보관창고나 운반 선박 등에 일부 남아있어, 밀의 운송과정에 섞여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비의도적으로 GMO가 혼입되는 상황을 고려해 수입 밀에 대해 대두, 옥수수 등 다른 곡물이나 흙 등 이물질이 5% 이내로 통관되도록 관리하고 있다.
GMO가 아닌 농산물에 GMO 성분이 비의도적으로 3% 이하 혼입된 경우에는 유전자변형식품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된다.
외국의 경우 유럽연합(EU)은 GMO의 비의도적 혼입치가 0.9% 이내일 경우 유전자변형식품 표시 면제를 하고 있어 국내 기준보다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5% 이내인 경우에만 표시를 면제하고 있다.
식약처는 “미국산 밀 수입 시 대두, 옥수수의 혼입 여부를 확인하고 혼입된 경우에는 승인된 GMO 대두, 옥수수인지를 검사할 계획”이라며 “유통단계에서도 GMO 표시에 대한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