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랜드그룹 이규진 CFO(좌)와 김보걸 자금본부장이 질의응답을 받고 있다.
이랜드그룹은 이랜드리테일 지분을 매각해 6000억원대 자금을 확보, 재무구조와 신용등급 안정화를 먼저 이루는 한편 이랜드리테일의 자회사인 이랜드파크 등을 분리해 선제적 기업구조 개편 후 상장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이규진 이랜드그룹 CFO는 “이랜드파크 외식 사업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진정성을 가지고 노력했으나 상장 절차는 계속 지연되었다”면서 “수동적으로 기다리면서 대응하기 보다는 선제적, 주도적으로 움직여서 상장을 적극추진하고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랜드리테일은 총매출 5조, 전국 53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유통 법인으로 지난해 12월 한국거래소에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를 한 바 있다. 이랜드는 자기자본과 매출액 등이 패스트트랙(상장심사 간소화) 형식적 요건이 충족되어 빠르면 5월 안에 상장이 완료 될 것으로 예측 했다.
하지만 이랜드리테일이 최대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자회사인 이랜드파크의 이슈가 생기면서 한국거래소가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위한 심의 계획이 미뤄지고 상장 절차가 계속 지연 됐다.
이에 이랜드는 이슈 있던 계열사 분리 매각하여 IPO 상장을 추진, 현 상황을 적극적으로 정면돌파 하며, 동시에 단기적으로는 유동성 이슈를 해소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신용등급 상향에 도전 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이랜드는 이랜드리테일의 일부 지분 매각으로 6000억의 자금을 조달한다. 이를 위해 주관사인 동부증권 및 큐리어스파트너스가 투자구조 협의 및 외부투자자 유치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들어오는 매각자금으로 이랜드리테일의 상환전환우선주(RCPS) 3000억을 해결하고, 이랜드월드는 이랜드리테일이 보유하고 있는 이랜드파크 지분을 매입하여 기업 구조가 대대적으로 개편된다.
이랜드는 이번 구조개편을 통해 이랜드리테일은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큰폭으로 개선되며, 그룹 리스크로부터 완전히 단절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랜드리테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302억 인데 반해 이랜드파크 등 자회사를 통합한 이랜드리테일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743억까지 떨어져 상장 가치가 크게 훼손됐다. 따라서 자회사 분리 후 단독 상장 시 상장 가치가 크게 올라 간다는 전망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이번 딜을 통해 창사 이후 가장 큰 기업 구조 변경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라면서 “빠른 시일 안에 재무구조 개선 완료와 신용등급 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사적으로 힘을 쏟아 부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