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4 탈퇴 외 해체 여론 여전… 국회서도 공론화
지난 6일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한 김상조닫기

김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경제개혁연대는 지난 7일 “전경련을 해체하라는 국민적 요구가 높고, 삼성·현대차·SK·LG 등 주요 재벌총수들이 탈퇴의 뜻을 밝혔다”며 “주요 회원사들도 전경련의 역할을 부정하고 있는 만큼, 스스로 해산절차를 진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경유착의 산물로 태어나 재벌의 기득권을 옹호하며 시장경제 발전의 장애물이 됐고, 이제는 부패한 정권의 심부름꾼으로 전락해 회원사들로부터 외면 당하고 있는 전경련은 해체 말고는 답이 없다”며 “환골탈태라는 말도 더 이상 전경련에 어울리지 않으며, 스스로 오욕의 역사를 청산하는 것만이 전경련이 가야 할 유일한 길”이라고 덧붙였다.
국회에서도 전경련 해체를 촉구했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같은 날 국회 정론관에서 “전경련은 경제적 강자의 이익만을 대놓고 대변했을 뿐만 아니라 부패하고 무능한 정부와 결탁하여 나라의 경제정책을 쥐락펴락 하는 지경까지 이르렀으며 노동·조세·환경 등 정부의 반 개혁적 경제정책에 전경련의 힘이 미치지 않은 게 없을 정도”라며 “급기야 전경련은 더 나아가 대기업들 위에 군림하는 또 다른 권력기관이 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회는 이언주·심상정 국회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전경련의 자발적 해체 촉구 결의안을 이번 정기국회에 반드시 통과시켜 더 이상 존재근거가 없는 정경유착의 창구, 대기업 위에 군림하는 옥상옥인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조속한 자발적 해체를 촉진해야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전경련 쇄신안 마련 분주
6일 1차 청문회를 통해 해체 여론이 거세지자 전경련은 자체 쇄신안 마련에 분주하다. 지난
7일 전경련은 오전 긴급 임원 회의를 개최하는 등 개혁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경련 측은 “혁신안에 대한 발표 시기는 미정이나 6일 청문회에서 나온 얘기를 잘 경청하고 의견을 수렴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전경련의 혁신안은 구본무닫기

회원사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도 마련할 계획이다. 쇄신안을 마련하기 위해 조만간 회원사 대표가 모두 모이는 자리를 만든다는 방침도 세웠다. 전경련 측은 “조만간 회원사 대표가 모두 모이는 간담회를 열거나 회원사 대상 개별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의견을 들을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