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B금융그룹 손익요약 / 자료=JB금융그룹
우선 그룹 이사회는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보통주 1주당 현금 105원의 분기배당 및 신탁계약 체결을 통한 300억원 상당의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
송종근 CFO는 “CET1비율을 통해 1분기와 동일한 1주당 현금 105원의 분기배당을 결의했다”며 “자기주식 300억원 매입과 200억원의 소각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추가적인 자사주 소각에 따라 그룹의 대주주인 삼양사 지분이 15%를 넘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김기홍닫기

이에 따라 그룹의 올해 상반기 주당배당금은 1분기 105원, 2분기 105원으로 총 210원의 주당배금을 지급하게 됐다. 또한 올해 상반기까지 총 402억원의 현금배당과 동시에 300억원의 자사주 매입이 이뤄지게 됐다.

JB금융그룹의 자산건전성 / 자료제공=JB금융그룹
그룹의 지배지분 ROE(자기자본이익률)와 연결 ROA(총자산수익률)는 각각 14.7%, 1.17%를 기록하며 업종 최상위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했다. 이 중 그룹의 ROE는 지난 2020년 10.1%를 기록한 이래 꾸준히 성장세를 보여왔다. 지난해에는 12.1%를 기록하며 꾸준히 두 자리 수 성장을 해왔다.
올해 상반기 총영업이익은 1조118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1조117억원) 10.6% 증가했다. 비이자이익 부분이 크게 상승하며 전반적인 그룹의 영업이익 상승을 견인했다. 그룹의 비이자이익은 132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851억원) 55.7% 상승했다.
비이자이익 부문에서 눈에 띄는 곳은 유가증권 부문 성장이다. 올해 상반기 그룹의 유가증권 부문의 수익은 77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337억원) 128.6% 증가했다. 뒤를 이어 수수료이익은 전년동기대비(456억원) 45.3% 오른 663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비이자이익의 성장은 당기순이익도 끌어올렸다. 올해 상반기 그룹의 당기순이익은 376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3344억원) 12.7% 증가했다.
김 회장은 “비이자이익 부문과 관련해서 1회성 요인도 있지만 그 요인이 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JB우리캐피탈에 기업금융 본부를 신설하여 많은 투자를 진행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투자를 유가증권으로 분류하고 있고 기업금융 본부의 자산이 1조원 가까이 되기 때문에 향후에도 비이자이익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열사들의 호실적도 그룹의 실적을 견인하는데 일조했다. 전북은행은 전년동기대비 10.0% 증가한 1127억원, 광주은행은 전년동기대비 13.7% 증가한 1611억원을 기록했다.
JB우리캐피탈은 전년동기대비 21.4% 증가한 1,236억원의 실적을 달성하며 그룹의 견고한 실적을 견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JB자산운용은 1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고, JB인베스트먼트는 7억원의 실적을 시현했다.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전년동기대비 18.0% 증가한 166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JB금융그룹 자본적정성 /자료제공=JB금융그룹
올해 2분기 말 기준 그룹의 연체율은 0.94%로 전분기(1.17%)보다 23bp(1bp=0.01%p) 하락했다. 전년동기대비(0.99%)와 비교했을 때에도 5bp 하락한 수치다. NPL(부실채권) 커버리지 비율도 전분기(122.2%) 대비 12.5% 오른 134.7%를 기록했다.
하지만 리스크가 높은 높은 중금리 신용대출을 줄이면서 순이자마진(NIM)은 감소했다. 2분기말 기준 그룹의 NIM(은행합산) 3.24%로 전분기(3.26%)보다 0.02bp 떨어졌다.
김 회장은 하반기 중점과제로 NIM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예컨대 최근 광주은행과 토스뱅크가 손잡고 선보일 ‘공동 신용대출 상품’이 NIM 상승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김 회장은 “NIM 하락은 금리 하락에 따른 것이지만 이자율이 높은 중금리 신용대출의 비중을 줄였기 때문”이라며 “적어도 하반기부터는 NIM 하락을 멈추거나 턴어라운드 하는 것이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임이랑 한국금융신문 기자 iyr625@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