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단체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3시 경상북도 안동 낙동강 월령교 일원에서 청소년 국제환경연대 세이브 더 낙동강 발대식이 열렸다.
이번 발대식은 반세기 동안 이어진 영풍 석포제련소의 중금속 오염으로 병든 낙동강 현실을 알리고, 청소년 세대가 주도하는 국제적 환경연대를 통해 문제 해결의 전환점을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전국의 청소년 대표들과 낙동강 상류 주민, 환경단체, 그리고 세계 각국의 청소년 활동가들이 함께 참여했다.
특히 세계적인 스웨덴의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 가 이끄는 Fridays for Future(FFF) 핵심 멤버 소피아 악셀손이 방한해 “한국 청소년들과 함께 낙동강의 회복과 기후정의 실현을 위해 연대하겠다”고 지지를 표명했다.
세이브 더 낙동강은 또 공식 출범과 함께 첫 실천으로 ‘보이콧 영풍문고(Boycott Young Poong Bookstore)’를 선언했다.
이날 행사에는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참석해 “청소년들이 용기 있게 나선 세이브 더 낙동강의 활동을 진심으로 지지한다”며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낙동강과 주변 환경의 오염 문제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으로, 국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청소년 대표들은 “50년간 방치된 낙동강 오염은 명백한 세대적 범죄"라며 "국내의 힘만으로는 부족하기에 전 세계 청소년들과 함께 환경범죄 기업에 대한 국제적 압력을 만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세이브 더 낙동강은 이날 발표된 창립선언문을 통해 “이제는 침묵을 끝내고, 죽어가는 강의 마지막 증인으로서 행동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발대식은 청소년이 직접 기획한 국제환경문화제 형식으로 진행됐다. 오프닝 다큐멘터리 ‘낙동강의 눈물, 석포제련소의 비극’ 상영을 시작으로 힙합 뮤지션 제임스안과 작곡가 이종인의 환경을 위한 공연, 대통령께 드리는 청소년들의 편지 낭독, 환경사진전, 해시태그 캠페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어졌다.
향후 단체는 국내외 청소년 단체와 연계해 ▲낙동강 오염 실태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글로벌 캠페인 ▲환경범죄 기업에 대한 국제 청원 및 소비자 보이콧 운동 등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청소년들은 “우리는 낙동강의 마지막 증인이자 살아날 미래의 첫 번째 희망이 될 것"이라며 "전 세계 청소년들과 함께 더 이상 침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