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르포] 3기신도시 중 가장 빠르다는 인천계양, 착공 2개월 현재 모습은

장호성 기자

hs6776@

기사입력 : 2024-05-27 13:14

올해 3월 첫 삽, 포크레인 몇 대 초기 작업 중…대부분 지역은 아직 수풀 무성
내릴 기미 없는 공사비·인건비, 3기신도시 본청약 분양가 오를라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인천 굴포천 일대에서 드러난 가벽 사이로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 공사현장이 보인다. / 사진=한국금융신문

인천 굴포천 일대에서 드러난 가벽 사이로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 공사현장이 보인다. / 사진=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장호성 기자] 수도권 인구 분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는 3기신도시, 그 중에서도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는 지난 3월 29일 첫 삽을 뜨며 가장 먼저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24일, 착공 2개월여를 맞이한 인천계양지구 일대를 한국금융신문이 찾았다. 지난 2021년 지구지정 이후 3년만에 다시 찾은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 일대는 착공에 들어간 이후 공사 가벽이 둘러쳐져 있어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된 모습이었다.

이곳은 지난 3월 29일, 2026년 12월 입주를 목표로 첫 삽을 떴다.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는 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 동양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원을 포함한다. 인천지하철 1호선 박촌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항철도 계양역이 버스로 3개 정거장 정도 떨어져있다.

계양지구는 귤현동·동양동·박촌동 일대 333만㎡(101만 평)에 조성되며 공공주택 9000가구를 포함해 총 1만7000가구가 들어선다. 이번에 착공하는 물량은 계양지구 28개 주택 블록 중 2021년 7월 사전청약을 받은 A2와 A3블록 총 1285가구 규모다.

인천 굴포천 일대에서 드러난 가벽 너머로 보이는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 현장. 아직 수풀이 무성한 모습. / 사진=한국금융신문

인천 굴포천 일대에서 드러난 가벽 너머로 보이는 인천계양 공공주택지구 현장. 아직 수풀이 무성한 모습. / 사진=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


공사가 2개월여 지난 현재, 도로쪽 현장은 넓은 공사가벽이 둘러싸고 있어 내부를 볼 수 없었지만 굴포천을 따라 걷다보면 가벽이 설치되지 않은 틈으로 멀리서 내부를 볼 수 있었다. 넓은 평지를 포크레인 몇 대가 분주히 오가며 초기 작업이 한창 이뤄지고 있었다. 본겨적인 공사르 앞두고 높은 흙벽이 쌓여있는 곳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곳은 굴포천 일대 일부에 불과했고, 나머지 지역은 아직 정비가 끝나지 않았는지 수풀과 쓰레기가 무성하게 쌓여있었다. 국토교통부는 계획대로 공사가 이뤄지면 2026년 12월에는 인천계양지구의 입주가 가능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현재 모습으로는 도저히 2년 안에 공사가 마무리될 것이라는 기대는 들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현장 곳곳에 ‘경작일체금지’ 표지판이 세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곽에는 아직 농사가 이뤄지고 있는 흔적도 있었다.

공사현장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착공 2개월로는 할 수 있는 일이 사실상 많지 않고, 토공사(터 파기, 평탄화 작업) 등만 조금씩 가능하다“고 귀띔하는 한편, ”인천계양 공공주택공사처럼 공사 범위가 넓고 원래 농경지였던 곳들은 특히 제초를 비롯해 복잡하지는 않아도 품이 많이 드는 작업들이 많기 때문에 기초작업에 소요되는 기간이 훨씬 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근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이제 막 공사에 들어간 참이라 이쪽 부동산에 유의미한 변화는 없다”며, “1200가구 이상이 입주할 수 있는 공사인 만큼 계획대로만 된다면 좋겠지만 지금 공사 상황을 보면 호재로 인식되기는 긴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전했다.

한편 인천시는 계양구 귤현·동양·상야동 일대 토지 0.72㎢(592필지)를 이달 13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되면 구청장의 허가 없이 토지거래를 할 수 있다.

인천계양신도시 조감도

인천계양신도시 조감도



◇ 천정부지 공사비에 본청약시 최종분양가 인상 가능성…거대한 희망고문 되나

3기신도시의 첫 타자라고 할 수 있는 인천계양지구의 진짜 문제점은 천정부지로 높아지고 있는 공사비와 인건비 문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착공에 들어간 인천계양 테크노밸리 A2 블록 공공주택 건설사업의 총사업비가 3364억원으로 변경 승인됐다. 지난 2022년 1월 사업계획승인 때보다 688억원(25.7%) 오른 것이다.

A2 블록과 함께 사업계획이 승인된 바로 옆 A3 블록의 총사업비도 1754억원에서 2355억원으로 580억원(33.1%) 급증했다. 당초 사업계획승인 당시 입주 예정일은 2026년 6월이었으나 2026년 12월로 6개월 밀렸다.

각 블록의 추정 분양가는 A2 블록 59㎡가 3억5600만원, 74㎡는 4억3700만원, 84㎡가 4억9400만원이었다. 그러나 증액된 사업비를 고려하면 올해 9월 본청약 때 확정되는 최종 분양가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공사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기에 3기 신도시 공공분양주택의 확정 분양가는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업 지연으로 사전청약 이후 본청약이 늦어지는 곳일수록 사전청약 당첨자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은 분양가를 받아 들고 고민이 깊어질 수 있다.

이번에는 인천계양의 사업비만이 변경됐지만 나머지 남양주왕숙·고양창릉 등의 지역도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토지보상 문제 등이 겹치며 착공이 늦어져 안 그래도 공사비 인상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한데, 정치적인 이슈들이 계속해서 발생한 결과 3기신도시 사업 자체가 흐지부지될 위험도 있어 이 프로젝트가 또 하나의 거대한 희망고문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내놓았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