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마트는 올해에도 지난해와 같은 1주당 2000원의 배당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정 부회장은 이마트 주식 517만2911주(18.56%)보유로, 전년과 동일한 103억4582만원의 배당을 받게 됐다.
이명희닫기

정 부사장의 동생 정유경닫기

이런 가운데 이마트는 지난해 30조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웃지 못했다. 자회사 신세계건설의 대규모 손실로 2011년 대형마트 부문이 분할된 이후 처음 적자를 내면서다.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은 29조 4722억원, 영업손실 469억원을 냈다. 매출은 전년 보다 0.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실적이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배당금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해 2월 이마트가 발표한 주주환원 정책 때문이다. 주주 환원재원은 연간 영업이익(별도재무제표 기준)의 20%를 원칙으로 하되, 환원재원이 주당 2000원 미달 시 최저 주당 2000원을 배당하기로 했다.
이마트의 배당수익률은 ▲2019년 1.5% ▲2020년 1.3% ▲2021년 1.3% ▲2022년 2.0%다.
다른 유통기업의 배당금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신동빈닫기

정교선 현대백화점그룹 부회장의 배당금은 오너 3사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 부회장은 현대지에프홀딩스로부터 올해 91억원을 배당받는다. 전년보다 86.1% 증가했다. 현대지에프홀딩스가 전년 대비 배당 규모를 축소했지만 유상증자 등에 참여한 정 부회장의 보유 주식이 늘면서 배당 규모가 증가했다. 올해 현대지에프홀딩스는 전년 보다 1주당 10원 적은 200원을 배당하기로 했다. 정 부회장은 4525만5141주(28.0%)를 보유하고 있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전년보다 83.4% 뛴 143억235만원을 배당금으로 받는다. 정 회장은 현대지에프홀딩스 주식을 6184만7333주 보유해 123억6947만원을 받는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와 같은 주당 1300원이다. 정 회장은 41만3556주를 보유해 5억3762만 원을 배당받는다. 현대그린푸드는 주당 325원을 배당한다. 정 회장은 429만3097주를 보유해 배당금이 13억9526만원을 받는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