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강석훈 회장은 산은 여의도 본점에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우조선 처리 문제와 부산 이전 직원 공감대 형성은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말했다.
강 회장은 대우조선 구조조정과 관련해 신속한 매각을 강조했다. 그는 “산은의 대주주 체제는 효용성을 다 했다. 대우조선이 커나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경영 효율화 과정이 있어야 한다”며 “산은 체제에서는 힘든 만큼 빠른 매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언급한 대우조선의 분리매각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어떤 방식이든 빠른 매각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며 “방산 부문을 떼어내서 나머지 부문을 해외에 주는 방안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다만 대우조선 컨설팅 결과 공개와 관련해서 그는 “기업의 기밀이 담겨있어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는 어렵다”고 했다.
이날에도 산은 노동조합과 직원들은 본점 로비에서 집회를 열고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강 회장은 해당 건에 대해 “대통령께서 지난달 31일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말씀하셨고 국회 예결위 현안 질의에서 국무총리와 부총리가 확약한 사안”이라며 “정부가 결정한 사안인데 그것을 거부할 수 있을지 생각 해봤다. 직원들이 냉정하게 현재 상황을 봐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내년 초에는 산은 내 부산 이전 업무를 전담하는 조직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강 회장은 “해양 산업 본부의 인원을 키우고 영업점 인원을 배분해서 부산·울산·경상남도 지역 산업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가능한 빠르게 하겠다”며 “산업은행법 4조 1항(산은 본점은 서울시에 둬야 한다)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언론에서 나온 400~500명 부산 지점 인사 발령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강 회장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1%포인트를 책임지는 산은이 되겠다는 비전도 발표했다. 강 회장은 “산은의 궁극적 목표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높여 다가올 초저성장의 늪에서 탈출하는 데 있다”며 “향후 5년간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에 10조원,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10조원, 메모리에 10조원 등 총 30조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