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는 디지털자산 자체 현황과 미래를 담은 리포트를 발간할 뿐만 아니라, 대체투자자산 중 하나로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디지털자산 투자 전략을 제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한대훈 애널리스트는 1984년생으로 하나금융투자, SK증권 등 리서치센터에서 경력을 쌓은 전문가다. 지난 2017년 6월 증권사 리서치센터 처음으로 ‘주식 애널리스트가 비트코인에 주목하는 이유’라는 리포트를 발간해서 주목받은 바 있다.
한 애널리스트는 2018년 한국의 첫 블록체인 컴퍼니 빌더인 체인파트너스에 합류했다가 2019년에 SK증권으로 복귀했다. 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디파이(DeFi, 탈중앙화금융) 연구용역 및 자문위원을 맡고, ‘넥스트파이낸스’ 등 4권의 책을 쓴 저자이기도 하다.
SK증권에서는 디지털자산 관련 현재 1993년생인 정규진 애널리스트도 일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2022년 3월 IPS본부 내 WM리서치챕터에 디지털자산을 전담하는 이세일 애널리스트를 영입해 인재 수혈에 나섰다.
이세일 애널리스트는 옛 대우증권에서 채권 애널리스트, 포트폴리오 운용 등의 업무를 맡아 약 8년 근무하고, 현대해상화재보험에서 부동산, PE(프라이빗에쿼티), 헤지펀드 등 대체투자자산 투자심사역으로 4년 반 가량 일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애널리스트는 채권, 주식, 부동산 등 전통자산과 금융시장 유동성 등 매크로(거시)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크립토커런시(가상자산), NFT(대체불가능토큰)를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자산에 대한 리서치를 담당하고 있다.
특히 자산배분 전략에서 대체투자자산 중 하나로 디지털자산에 대한 투자전략을 제시하는 게 이 애널리스트의 역할이다. 신한금융투자 유튜브를 통해 시장 트렌드 및 기술 분석 등을 전달하게 된다.
KB증권은 2022년 3월 리서치센터에서 디지털 에셋 KB(Digital Asset KB)의 앞글자를 딴 ‘다이아KB’ 리포트로 신호탄을 쐈다. 디지털자산 분석 담당 애널리스트로는 KB증권 리서치센터 자산배분전략부 소속인 오재영 수석연구원이 있다.
오 애널리스트는 1987년생으로 투자컨설팅센터, WM리서치부 등을 거쳐 리서치센터 자산배분전략부 매크로 담당 애널리스트를 했고, 현재 원자재/디지털자산을 담당 섹터로 맡고 있다. 또 KB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컨설팅부 소속의 윤창배 선임연구원은 1991년생으로 종목컨설팅/디지털자산 섹터를 담당하고 있다.
미래에셋그룹은 그룹 산하에 설립을 준비 중인 ‘디지털자산 전문회사’에 소속될 인재 영입에 시동을 걸었다. 2022년 3월 자회사인 미래에셋컨설팅을 통해 ▲블록체인 지갑 개발/운영 ▲커스터디(수탁) 서비스 기획/운영 ▲디지털 자산 초기 투자 발굴 등 경력직 채용에 나선 바 있다.
키움증권(대표 황현순)도 최근 2022년 디지털자산 분야 관련 상시 채용에 나섰다. 주요 업무는 디지털자산 관련 비즈니스 기획으로 ▲증권형토큰(STO) ▲NFT ▲커스터디 ▲월렛 등을 제시하고 있다.
디지털자산 전담 조직과 인력을 갖추지 않았더라도, 4차산업, 혁신성장, 미래산업, 디지털금융 등을 키워드로 조직을 운영하거나 재구성해서 중장기 메가트렌드 리서치에 힘을 싣는 모습이 증권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 금투업계 관계자는 “전통 투자자산을 넘어 디지털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중요도가 점점 부각되고 있어서 대응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증권가는 새 정부 국정과제로 디지털자산 관련 정책이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이행계획서에 따르면, 투자자 신뢰를 토대로 가상자산 시장이 책임 있게 성장하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제시했다.
현재 가상자산 관련 입법은 자금세탁방지(AML)에 초점을 맞춘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이 시행 중이다.
또 투자자 보호장치가 확보된 가상자산 발행방식부터 국내 ICO(가상자산 발행) 허용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가상자산의 경제적 실질에 따라 ‘증권형’과 ‘비증권형’으로 규제 체계 마련도 추진하기로 했다.
한 금투업계 관계자는 “디지털자산 사업은 국내 제도화에 발맞춰 단계적으로 준비할 수밖에 없어서 일단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해외동향을 보면 우리보다 선제적인데,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법체계가 갖춰지면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