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 종합감사에 출석해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금리인상 관련 취약계층 영향에 대한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일부 취약계층은 상환부담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통화정책은 그렇게(금리인상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제시했다.
그리고 이 총재는 "앞으로도 금리를 인상할 계획이 있다는 것은 종합적으로 보고 취하는 조치"라고 말했다.
그는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은 한은도 있지만 재정에서의 특별 지원이 필요한 것이 아닌 지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 배경에 대한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 총재는 "미국 연준(Fed) 정책 변화 기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조기 가시화로 달러화 강세가 가장 컸고, 중국 헝다 그룹 사태와 전력난 등의 영향을 받았다"며 "하지만 우리 경제의 체질이 약해서 원화 약세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가계부채 급증과 금융 불균형 누증 책임에 대한 류성걸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대해서는 이 총재는 한은은 물론,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모두 책임이라고 짚었다.
이 총재는 "금융불균형 문제는 어느 한 기관이 해결할 수 없고 모두 같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다 같이 책임을 지는데, 수단이 다르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