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금융안정패키지 프로그램의 경우 아직 지원 여력이 충분한 만큼 방역의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적기에 충분한 자금을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손병두닫기

금융권에서는 방역에 철저히 대응하고 업무중단 없이 금융 본연의 기능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전 금융권은 금융당국과의 상시보고체계를 구축하고 집단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콜센터, 방문판매 영업의 경우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라며 “업무지속계획(BCP) 가동과 비대면 지원 시스템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에도 경제에 필수적인 금융중개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매매·결제 시스템과 같은 금융 인프라는 상호 연계성이 높으므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라며 “해킹·정보 유출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보안에도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방역조치 강화와 함께 민생금융안정패키지 프로그램의 비축된 지원 여력을 통해 적기에 충분한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정부는 최근 금융의 적극적인 실물경제 지원 역할을 지속하고 금융시장의 불안심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조치, 금융규제 유연화방안, 공매도 제한 등 한시 조치들의 기한연장을 결정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민생금융안정패키지 프로그램의 경우 소상공인 대상 10조원, 중소·중견 대상 8조원, 시장 안정화 프로그램 58조원 등 지원 여력이 충분하다”라며 “방역의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적기에 충분한 자금을 공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코로나19 이후 가계와 기업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미래를 위한 투자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청사진인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한 금융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라고 강조했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마지막으로 “방역과 경제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통과 협력이 중요하다”라며 금융권에 내부 협력체계는 물론 방역당국과도 보고·협력체계를 구축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코로나19 관련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금융지원은 1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14조원, 2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6220억원이 집행됐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확대를 통해 21조4000억원,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화를 위해 11조8000억원이 지원됐다.
시중은행 금융 지원 실적의 경우 지난 8월 28일까지 194만4000건, 187조3000억원의 자금이 공급됐다. 유형 별로는 신규대출이 142만1000건(82조8000억원)이 실행됐다. 기존 대출·보증 대상 만기연장은 52만3000건(104조5000억원) 이뤄졌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