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석유협회는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가 3분기에 수출한 석유제품이 전년동기 대비 4.9% 증가한 1억2829만 배럴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 2015년 3분기 1억2289만 배럴을 넘어선 수치다.
특히 3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유가 상승에 힘입은 약 109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2% 증가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도 배럴당 85.1달러로 38.5% 상승했다.
3분기까지 누적기준으로도 수출물량은 3.9% 증가한 3억6523만 배럴로 가장 많았고, 수출액은 37% 증가한 296억8700만 달러로 2014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석유제품은 올해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분기 국가 주요 13대 수출품목 순위에서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7위에서 3계단이나 상승했다.
국내 정유사는 2015년 이후 지속되는 저유가 상황에서도 꾸준히 수출 물량을 확대하여 왔다. 최근 수 년간 원유도입량의 50% 가까이 석유제품으로 정제하여 수출하고 있다.
특히 올 3분기에는 원유도입물량 중 52%를 석유제품으로 정제했다. 금액으로는 원유도입액의 59%를 수출해 정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국가별 3분기 우리나라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은 중국(22%)으로 전체 수출량의 2833만 배럴을 수출했다. 이어 대만(16%), 일본(11%), 호주(8%), 싱가폴(7%) 순이었다.
석유제품별로 경유가 4868만 배럴로 전체 석유제품중 38.0%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항공유(21%), 휘발유(16%), 나프타(9%) 순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위주로 수출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주력 업종의 수출이 흔들리고 있지만 정유업계는 지난해에 300억 달러를 수출한 데 이어 올해에는 수출물량 확대로 400억 달러 돌파도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시설고도화 등 투자에도 힘써 IMO 2020 규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등 산업 경쟁력을 높여 국가 수출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