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훈 연구원은 “5G 상용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지난 6월 5G용 주파수 경매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3.5GHz(280MHz)와 28GHz(2800MHz) 대역이 최저 경매가 대비 10.4% 증가한 합리적인 가격으로 통신3사에 분배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추가로 5G용 주파수가 공급될 가능성도 커 5G 상용화를 위한 주파수 조달은 무리 없이 진행될 전망”이라며 “이번에 분배 받은 주파수는 올 12월부터 사용 가능하며 5G 초기에는 3.5GHz 중심으로 서비스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7월에는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박정호닫기



그러면서 “5G 투자 계획도 구체화되고 있는데 특히 KT는 5년 동안 23조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이 중 5G 등 네트워크에 9조6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며 “이는 유무선 통합 수치로 과거 네트워크 투자 대비 크게 늘어난 건 아니지만 국내 장비업체 기술 발전과 정부의 국산장비 도입 의지 등을 감안하면 국내 장비업체에 수혜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SK텔레콤은 최근 5G 장비 공급 우선협상대상자로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3사를 선정했고 KT와 LG유플러스는 빠른 시일 내 결정할 것”이라며 “기지국 장비가 확정되면 순차적으로 장비 채택이 확정될 것이므로 올 4분기부터 장비업체의 수주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K증권은 5G 장비 관련 코스닥 상장사로 서진시스템과 대한광통신, 텔코웨어, 이노와이어리스, 에이스테크, 오이솔루션 등을 제시했다.
김수정 기자 suj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