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 사진=포스코.

13일 재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8~20일 세 번째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절단 규모와 인원을 구성하고 있다.
사절단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진 박용만닫기



현재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재용닫기




특히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참석에 재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달 포스코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최 회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8 스틸코리아 행사장에서 “그룹의 각 계열사와 관계사를 모아 남북 경협 관련 TF팀을 이미 구성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TF의 정확한 인원도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 주도로 TF를 구성한 만큼 포스코는 전 그룹사 차원에서 대북(對北) 사업 가능성을 검토하고 추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최 회장은 지난달 취임 기자회견에서도 남북 경협 참여 의지를 보인 바 있다. 당시 그는 “남북 관계가 좋아지면 포스코가 가장 큰 경협 수혜자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계열사 포스코켐텍은 2007년 북한산 마그네사이트를 수입하려다 남북 관계가 경색돼 사업을 중단시켰다. 최 회장은 이 사례를 직접 언급하며 “북한이 제철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철강업에 투자하는데 (포스코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포스코는 문재인 정부와의 호흡을 위해 5년 간 45조 원을 투자하고 2만 여명을 고용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남북 경협사업 확대에 대비해 포스코 주요 그룹사(포스코대우, 포스코건설, 포스코켐텍 등)가 참여하는 '대북사업 TF팀'을 구성해 운영 중에 있다”며 “TF팀은 그룸사의 핵심역량을 활용할 수 있고, 경협에 기여가 가능한 사업 참여를 원칙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포스코그룹은 남·북·미관계 등 정세 변화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수요가 입장에서 원료 등 자원 수입을 검토하고, 철도/도로 등 인프라 구축에 참여해 장기적으로 한반도 철강산업 재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청와대는 지난 10일 남북 정상회담에 경제인을 초청하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했고, 이후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은 경제단체장들을 잇달아 만나 경제인들의 방북 규모에 대해 논의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