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검찰에 은행권 채용비리 의혹을 수사 의뢰한 이후 수사 파장이 어디까지 퍼질지 가늠하기 어려워하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두 차례에 걸쳐 은행권 채용 현장점검을 통해 채용비리가 의심되는 22건(잠정)의 사례를 적발했다. 이중 KB국민, KEB하나, 대구, 부산, 광주은행 등 5곳 은행 관련해서는 자료를 검찰에 이첩하고 수사 의뢰했다.
지난달 6일 검찰은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점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8일 KEB하나은행, 광주은행도 잇따라 압수수색하며 수사 속도를 높여 왔다.
이어 이달 2일 2015년 신입행원 채용 당시 부산은행 인사담당 임원이었던 BNK저축은행 대표이사가 구속되고, 지난 6일에는 채용비리와 관련 검찰 수사를 받던 KB국민은행 인사 담당자가 구속된 상황이다.
지난해 우리은행 신입 행원 채용비리 의혹이 은행장 퇴진으로 이어졌던 만큼 특히 최고경영자(CEO)와 이번 채용비리 의혹이 연관돼 있는 경우 압박감은 더욱 거세다.
KB국민은행의 경우 2015년 채용 당시 최고 경영진인 윤종규닫기

은행권은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기관과 수장에 대한 징계여부도 결정될 수 있는 만큼 수사 진행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이다. 금융당국도 채용절차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압박이 거세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6일 주요 은행과 은행지주회사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18년도 은행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에서 "올해 지배구조 및 채용절차 등 금융현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도록 감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