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영준 오뚜기 회장
24일 재계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오는 27일, 28일 양일간 청와대에서 ‘일자리 창출 상생협력 기업인과의 대화’를 갖는다. 초청 대상에는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등 농협을 제외한 재계순위 14개 그룹과 일자리 창출 상생 우수기업 오뚜기가 포함됐다.
오뚜기의 자산 규모는 지난해 기준 1조 5900억원으로 재계 순위로 따지면 100위권 안에도 들지 못 한다. 그럼에도 청와대가 오뚜기를 ‘깜짝 초청’한 배경으로는 △비정규직 비율 1.16% △함영준 회장의 투명한 상속과정 △10년간 라면 제품가격 동결 △심장병 어린이 후원 등 ‘착한 기업’ 문화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오뚜기 관계자는 “회사 내부적으로도 청와대 초청 소식을 뉴스를 통해 접했다”며 “추후 공식적으로 초청 연락을 받게 되면 논의를 거쳐 참석자를 정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청와대가 직접 일자리 우수 기업으로 지목한 만큼 대리인이 아닌 함 회장의 참석이 점쳐지고 있다.
지난 3월 말 기준 오뚜기의 기간제 노동자는 36명으로 전체(3099명)의 1.16%에 불과하다. 경쟁업체인 농심(4.95%)과 삼양식품(1.86%)보다 비정규직 직원의 비율이 낮은 셈이다. 지난해 9월 별세한 창업주 고(故) 함태호 명예회장은 1800명의 시식사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바 있다.
투명한 상속세 납부도 오뚜기의 청와대 초청 배경으로 꼽힌다. 함 회장은 지난해 12월 22일 아버지인 고 함 명예회장으로부터 오뚜기 46만 5543주(13.53%)와 계열사 조흥주식 1만 8080주(3.01%)를 상속받으면서 1500억원의 상속세를 5년간 나눠 납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는 상속 과정에서 편법을 동원에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타 기업들의 행보와 배치되며 최근 정부가 밝힌 ‘국정운영 5개년’ 100대 과제 중 ‘기업 집단 총수 일가의 부당한 경영승계 차단’과도 궤를 같이 한다.
또 오뚜기는 지난해 인건비와 원자재비 상승으로 인해 라면 제품 가격을 약 5.4% 인상한 농심과 삼양식품과 달리 진라면 등을 현재까지 10년 동안 동결 중이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 오뚜기를 신을 뜻하는 ‘갓(God)’을 더해 ‘갓뚜기’로 지칭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2015년 고 함 명예회장이 심장병 어린이를 후원하는 밀알복지재단에 300억원대 주식을 기부한 사실 등 각종 미담이 알려지면서 오뚜기는 소비자들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번 정부와 기업인간의 만남 주제가 ‘일자리 창출 상생협력 기업인과의 대화’라는 점만 놓고 봐도 오뚜기의 초청 이유가 확실히 드러난다”며 “초청 자체가 이슈가 된 만큼 다른 대기업들에게는 그만큼 오뚜기의 참석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