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20일 농민들이 스마트팜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전용 요금제를 마련하고, 연말까지 스마트팜을 세운 가입자에게는 2년간 월정액을 면제해 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세종시와 함께 세종시 연동면에 조성 중인 8264㎡(2500평) 규모의 공동농장을 스마트팜 교육장으로 쓰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사물인터넷(IoT) 특화 전용기술인 로라(LoRa)를 적용해 스마트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세종, 성주, 부여, 논산, 함안 지역에서 전용망을 구축한다.
KT는 스마트팜 수요가 있는 농촌에 스마트팜 상설 교육장 4곳을 만들고,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소기업과 협력해 스마트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힘쓰기로 했다.
KT는 KT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팜 통합관제플랫폼과 KT 스마트팜 하드웨어 장비 규격 등을 공개해 중소기업이 원격관제와 에프터서비스(AS), 장비제작 분야에서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유플러스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인프라 구축 △홈IoT및 IoT캡스로 농민 가정 서비스 확대 등으로 진행된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우선 다수의 스마트팜 농가가 위치한 농산물 주산지를 대상으로 전용망을 구축해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전용망을 통해 스마트팜 농가들이 초기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한편, 스마트팜이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온도와 습도, 일조량 등을 모바일 기기 등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말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전용 모태펀드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