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은 4일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 본사에서 고석희 두산중공업 주단BG장(Business Group), 이상록 현대중공업 해양설계부문장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협력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양사는 해양플랜트 설계기술과 생산기술을 공유해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TLP(부유식 구조 플랫폼) 등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핵심 기자재 6종을 함께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중공업은 두산중공업과 함께 육상플랜트 기술을 해양으로 확대 적용하고,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소재를 공동 개발한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4년 9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TFT를 구성했다. 압력용기, 공기압축기, 열 교환기 등 중소기업이 개발한 각종 기자재들을 제작 중인 해양플랜트에 실제로 적용하는 등 지금까지 총 38종의 해양기자재를 국산화했다.
두산중공업도 지난 2012년 ‘해양플랜트용 저온 주단강 소재’를 개발했고, 지난 2013년부터 ‘고효율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국책사업도 주도해 왔다.
김숙현 현대중공업 해양사업 대표는 “대다수의 해양기자재를 수입하는 상황에서 기자재 국산화는 해양플랜트의 경쟁력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며 “중소기업들이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기자재 국산화에 나설 수 있도록 울산·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활동도 강화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