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대투 노조와 직원들은 증권 투신분야 경험이 많고 단시일내에 업무 파악을 해 경영정상화를 앞당길 수 있는 내부 인물을 선호, 정부측이 내세운 김병균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의 사장 선임에 반발했었다. 비전문가가 사장 자리에 오를 경우 지금까지 추진해오던 경영정상화 계획은 물론 조직의 안정성이 흔들려 당면 현안 과제를 풀어나가는데 희망이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지난 20일 열릴 예정이었던 주총 봉쇄 작전을 통해 관료출신의 사장선임 반대 운동을 본격적으로 실시했다. 예상치 못한 반발에 직면한 정부측은 이 같은 상황을 의식해 주총 일자를 22일로 이틀 연기하는 등 막판 진통을 겪었다.
정부는 이같은 대투 직원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히자 당초 계획을 바꿔 97년부터 99년까지 대투 상무를 역임한 전수진 부사장<사진右>이라는 새로운 카드를 꺼내 분위기 반전을 시도했다. 전부사장 카드는 정부 입장에서 일방적인 낙하산 인사라는 비난을 피할 수 있고 대투 직원들이 요구한 전문 경영인 선임에도 합당한 측면이 있어 노조로서도 계속적인 김병균사장<左> 반대 운동을 추진하기가 곤란했다. 대투 노조는 22일로 예정된 주총전 대의원 대회를 통해 정부 수정안을 받아들여야 할 지에 대해 격론을 벌이다 결국 정부측 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노조는 일단 정부가 꺼낸 전 부사장 카드가 사장 선임 반대 운동의 명분을 상당 부분 희석시킨 데다 정부도 고민을 한 흔적을 보였다는 점에서 반대하기가 어려웠다는 것. 또 사장 선임이 계속 지연될 경우 고객들의 신뢰 상실 문제가 발생하고 회사 경영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판단해 정부안을 수용하고 향후 이들의 경영 방식이 구태를 답습할 경우 다시 사장 퇴진 운동을 벌인다는 선에서 일을 마무리했다.
한편 대투증권 신임사장으로 지난 24일 정식 취임한 김병균 사장은 이날 오후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등 빠르게 업무 파악에 들어갔다. 김병균 사장은 재무부 기획원 출신으로 98년 9월부터 대투사장 부임전까지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을 역임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