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증권업계를 종합하면, 최현만닫기

또 최현만 수석부회장은 "ESG 경영에도 박차를 가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며 배려가 있는 자본주의를 성실히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일문닫기

정일문 사장은 "이제 금융시장의 화두는 '핀테크'를 넘어 '테크핀'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IT/DT본부나 신설된 디지털플랫폼본부에 국한되지 않고, 리테일, 홀세일, IB/PF, 운용부문, 본사관리 등 전사가 대응에 나서야 하고 앞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림닫기

또 박정림 ·김성현 사장은 "데이터 중심 고객분석을 통한 고객여정 별 스마트 오퍼링(Smart offering),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M-able 중심의 플랫폼 경쟁력 강화, 디지털 에코시스템에 대한 전략적 확장 등을 통해 고객 유입 확대, 비대면 채널에서의 고객 가치 창출, 혁신적이고 편리한 플랫폼 서비스 강화"도 주력 과제로 꼽았다.
정영채닫기

최석종 KTB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도 "ESG 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도 본격적으로 고민을 해야할 시기"라고 지목했다.
최석종 사장은 "디지털 금융으로 신속하게 전환하고 친환경 인프라 금융 지원 등 환경에 기여할 것"이라며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도 강화하고 주주가치 환원과 투명한 정보 공개로 지속가능 경영을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궈밍쩡 유안타증권 대표이사 사장도 "범아시아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투자 서비스 강화와 디지털 금융 가속화에 대응해 빠르게 변모하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시장에서 비대면 문화가 퍼지고 간접투자자의 직접투자, 개인투자자의 해외 직접투자 참여 등 투자문화가 진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도 업계를 대표해 "시장 친화적 ESG 제도·인프라 마련과 금융투자회사의 ESG 상품 출시 및 관련 딜(Deal) 수행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ESG는 글로벌 투자운용 업계에서 이미 부상중인 키워드로 국내 증권사 역시 관심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나금융투자의 '2021년 ESG 트렌드는 계속된다' 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1위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향후 투자 및 인수하는 모든 기업 심사에 탄소 사용량을 15% 저감하는 조건을 추가하고 ESG를 모든 액티브 상품에 고려하기로 결정했다. 피델리티, UBS 등 30개 글로벌 자산운용사들도 지난해 12월 2050년 '넷 제로(Net-zero,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